Halo Spot Symptom Induced by Oviposition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on Grape Fruits: Molecular Diagnosis by a Species-specific DNA Amplification and Microscopic Characterization of the Symptom
꽃노랑총채벌레 산란에 의한 포도 과피 달무리 반점: 종 특이적 분자진단법을 이용한 종동정과 반점 증상의 형태적 특징

Seung-Joon Ahn, Myoung Rae Cho, Cheol Hong Park, Taek Jun Kang, Hyung Hwan Kim, Dong-Hwan Kim, Chang Yeol Yang
2014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In grape vineyards, whitish spots in a cloud shape have been often observed on the fruit surface recently. However, the cause of the halo spot symptom was unknown, hindering countermeasures to be properly designed for the control. A small hole in the middle of the formless halo spot remained as a scar formed by oviposition of the thrips. It became later a suberized scab, which is separated from the epidermal cells on the surface either to be retained on or to be detached from it as time
more » ... . Such a symptom is distinguished from the feeding damages caused by thrips or true bugs occurring on the grape fruits. With DNA extracted from the egg-shell found in the hole, molecular diagnosis by amplifying an ITS2 region with universal primers and subsequently digesting the PCR product by an restriction enzyme (RsaI) revealed that the egg was laid by Frankliniella occidentalis. In addition, a mitochondrial COI sequence confirmed that the halo spot symptom was formed by its oviposition. This study provides accurate information on the peculiar damage symptom caused by oviposition of F. occidentalis that could be useful in the control strategies for this pest in vineyards. 총채벌레는 포도의 잎과 과실에 피해를 주는 중요한 해충으로 약충과 성충이 잎과 과실 표면을 직접적으로 섭식하거나 또는 산 란을 통해 피해를 유발하고, 간접적으로는 신초와 잎의 성장을 저해하여 결국 과실의 품질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Childers, 1997). 외국의 포도원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볼록총채벌레(Scirotothrips dorsalis), 포도류 가해 총채벌레류 (Drepanothrips reuteri) 등 10여 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KSAE) retains the exclusive copyright to reproduce and distribute for all KSAE publications. The journal follows an open access policy. 를 확인한 후, 남은 PCR 결과산물을 Qiaquick PCR Purification Kit (Qiagen, USA)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PCR 산물의 제한효소 처리를 통한 총채벌레 분자진단 정제된 PCR 결과산물 10 μL에 제한효소 RsaI (Thermo Scientific, USA) 5 unit를 처리하고 37℃에서 2 시간 동안 반응 시킨 후, 60℃에서 20 분간 제한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고, 2% agarose gel (TAE buffer)에 전기영동하여 제한효소에 의해 절 단된 DNA 단편의 패턴을 확인하였다. 실제 총채벌레의 PCR-RFLP 패턴과 비교하기 위하여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및 볼록총채벌레의 gDNA를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각각 추출 하여 같은 제한효소를 처리한 후, 절단된 DNA 단편의 패턴을 전기영동으로 확인하였다. COI 부위의 PCR 증폭 및 염기서열 분석 정확한 분자동정을 위하여 위에서 추출한 gDNA를 Brunner et al.(2002)이 이용했던 프라이머들(5'-ATTAGGAGCHCCH GAYATAGCATT-3'과 5'-CAGGCAAGATTAAAATATAA ACTTCTG-3')을 이용하여 COI 부위의 일부를 PCR 증폭하였 다. PCR 반응조건은 위와 동일하였으며 결과산물을 바이오니 어 시퀀싱 서비스(Bioneer, Korea)에 의뢰하여 염기서열을 분 석하였다. 분석된 염기서열은 NCBI에 등록된 총채벌레들의 COI 염기서열과 BLAST 분석하여 유사도가 가장 높은 서열을 찾은 후, Clustal W를 이용하여 정렬한 후 비교하였다.
doi:10.5656/ksae.2014.08.0.032 fatcat:7z75dmencnhmvdedgppk5nfii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