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ecticidal activities and repellent effects of methylcinnamate and essential oils from Alpinia galangal against nymphs and adults of Metcalfa pruinosa

Bueyong Park, Sang-Ku Lee, In-Hong Jeong, Se-Keun Park, Sang-Bum Lee
2018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Metcalfa pruinosa is a pest causing widespread problems to many crops in Korea. This pest infects fruit crops especially, persimmon and grapes. We tested the possibility of M. pruinosa management using essential oils of Alpina galangal and methylcinnamate which were extracted from A. galangal by steam distillation method. The use of essential oil showed a mortality rate of 10.0 and 23.3% for adults and nymphs, respectively. While the use of methylcinnamate resulted to a mortality rate of 40.0%
more » ... n adults and 36.6% in nymphs. For its repellent effect, it showed an avoidance rate of 50.0 and 63.3% for adult and nymph respectively. Considering these two results, the extract of A. galangal are shown to have some synergic effect for pest contro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a possibility of M. pruinosa control using essential oil and methylcinnamate from A. galangal. Keywords Alpina galangal · Insecticidal effect · Metcalfa pruinosa · Methylcinnamate · Repellent effect 서 론 국제교역의 증가 및 기후변화가 지속됨에 따라 농업생태계의 해 충 밀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hantungensis), 꽃매미(Lycorma delicatula) 등 새로운 외래돌발 해충이 국내에 침입하였고 발생 및 피해 면적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1]. 이중 미국선녀벌레는 2009 년 국내에 처음 발생이 되었으며 경남 김해의 단감 과원에서 작물에 대한 피해도 같이 보고되었다[2]. 이는 분류학적으로 노 린재목(Hemiptera) 선녀벌레과(Flatidae)에 속하는 해충으로 북아 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원산지인 미국에서는 50개과 102종에 이 르는 식물이 기주로 알려져 있어 광범위한 기주범위를 나타낸 다. 국내의 경우 62과 145종이 기주식물로 조사되어 미국보다 기주식물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3]. 미국선녀벌레는 연1 세대 발생하며, 성충 암컷이 가을에 기주식물에 산란을 하고 기 주식물에서 월동한 알이 이듬해 5월 중하순 경에 알에서 부화 하여 5회의 탈피를 거쳐 성충이 된다[4]. 약충과 성충은 기주식 물의 줄기를 흡즙하고 감로를 배설하여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특히 과수는 이로 인한 품질저하가 발생하는 등 피해가 발생하 고 있다[5]. 따라서 효과적인 방제법이 필요한 상황인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방제는 대부분 화학농약에 의존하고 있다. 이
doi:10.3839/jabc.2018.041 fatcat:liib5yadxrah3bzm7qsgdtwz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