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n-Formaldehyde Resin Finished Rayon Fabric and Their Optimal Treatment Condition
비포름알데하이드계 수지 가공제 처리한 레이온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와 최적 처리 조건에 관한 연구

Han-Gi Kim, Nam-Sik Yoon, Man-Woo Huh, Sung-Ki Jeon
2012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ol.24,No.3 〈연구논문 기술 ( )〉 221 1. 서 론 각종 인조섬유의 탄생과 응용으로 인해 이제 의 류용과 산업용 소재의 분류에 대한 일률적인 한정 도 쉽지 않은 요즈음 대표적인 재생 셀룰로오스 섬 유인 비스코스 레이온은 면의 특성을 가장 많이 갖 고 있는 쾌적 소재로서 우수한 친수성 흡습성 흡 ( , 수성 보수성 과 특유의 유연성 부드러운 우아함 , ) , , 풍부한 드레이프성 및 깊은 색감으로 인해 지금까 지 의류용 인조섬유의 선구자적 역할을 꾸준히 지 키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세탁 후의 수축과 구김 . 및 습윤강력의 저하 등은 그동안 비스코스 레이온 직물의 최대 단점으로 지적 되어 왔고 이러한 수축과 구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방축 및 방추가공에 대 † 한 꾸준한 연구와 노력으로 해결 방안은 찾았으나 현장 생산에 있어서 완전한 적용까지는 아직도 많 은 해결 과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스코스
more » ... 같이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분 자들은 수소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외력이 가해 지면 분자들이 서로 미끄러져 셀룰로오스의 기가 OH 새로운 위치에서 수소결합을 이루게 되어 형태안정 성이 나쁘게 된다 특히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는 . 면섬유에 비해 중합도와 결정화도가 작고 배향성이 낮아서 실이나 직물인 경우 물을 흡수하면 미세간 격으로 물분자가 들어가 간극이 확대되어 부피를 증가 시키나 건조되면 수축이 발생되며 방적 제직 , , 중에 받게 된 장력으로 인하여 그 수축 정도는 더 욱 크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1) 이러한 문제점들을 . 해결하기 위하여 면섬유와 같이 산포라이징 등의 물리적인 가공 방법을 처리 하였으나 저밀도의 비 Abstract: Rayon fabrics were treated with some commercial non-formaldehyde and low-formaldehyde resins, and then their effec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abrics, including formaldehyde release, tear strength, shrinkage, and wrinkle recovery, were investigated respectively. Rayons treated with non-formaldehyde resin, little formaldehyde release was observed. Considering other factors,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non-formaldehyde resin was shown to be 11-13%, and curing temperature was 170~175 . In case of low-formaldehyde type, 9-11% resin concentration and curing temperature of 170~180 were ℃ ℃ recommended for optimal finishing condition. The choice and combination of resins and catalysts were also important factors, and preliminary considerations before resin-finishing of rayon are also important to get much better results.
doi:10.5764/tcf.2012.24.3.221 fatcat:6m3xpgp5rzdy5b33fkbpx22h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