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of Vastus Medialis Oblique, Vastus Lateralis, and Gluteus Medius Following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송상협
2013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단국대학교 초록 운동학 학술지, 2013, 15 (3) : 25-33. 닫힌사슬운동 형태에 따른 내측광근, 외측광근 및 중둔근의 근활성도 비교. [서론] 슬개 대 퇴 동통 증후군 (PFPS)은 가장 흔한 근골격계 질환 중 하나이지만 이에 대한 정의, 분류, 평가, 진단 또는 관리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슬개 대퇴 동통 증후군은 계단을 올라가고, 내려가거나 무릎을 구부려서 쪼그려서 앉을 때 무릎의 뒤쪽 통증 또는 무릎 주변의 통증과 발생하며 소년과 젊은 성인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문제입니다. 슬개대퇴 동통 증후군(PFPS) 은 내측광근(VMO)과 외측광근(VL)의 불균형 및 약한 중둔근이 대표적인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3가지의 닫 힌사슬(CKC)운동 시 VMO과 VL의 근활성도 비율 및 중둔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 는 CKC 운동 형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건강한 성인남성 8명을 3가지의
more » ... C 운동, Traditional squat 운동(TS : n=8), Squat with isometric hip adduction 운동(SIHA : n=8) 및 Single limb squat 운동(SLS : n=8)을 무작위 순서로 실시하였다. 3가지의 CKC 운동은 3초간의 concentric 운동과 3초간의 eccentric 운동을 총 3회 실시하여 VMO과 VL의 근활성도 비율 및 중둔근의 근활성도를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VMO와 VL의 근활성도는 TS 운동에 비해 SLS 운동과 SIHA 운동에서 근활성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5). 중둔근의 근활성도는 TS 운동에 비해 SIHA 운동 및 SLS 운동에서 근활성 도가 높게 나타났다(P=.05). [결론] Squat with isometric hip adduction 운동과 Single limb squat 운동이 내측광근과 외측광근 의 근활성도 비율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중둔근의 근력을 개선시킬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향후에는 스포츠현장 에 적용할 트레이닝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doi:10.15758/jkak.2013.15.3.25 fatcat:mghuzzbqonggdg57di67l6mi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