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ourists' Psychic Distance on Novelty Experience and Satisfaction
관광객의 심리적 거리가 신기성경험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Sun-Hui Her, Hyoung-Gon Kim
2011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ulti-faceted. Firstly, it is to examine the perceived differences in novelty experience, psychic distance, and satisfaction among Japanese, Chinese, and American tourists visiting Korea. Secondly, it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velty experience on their overall satisfaction in Korea. Lastl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ole of psychic distance on the level of perceived novelty experience in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to 307 international tourists
more » ... parting Korea at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ived psychic distance, novelty experience, and overall satisfaction in Korea among Japanese, Chinese, and American tourists. Also,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novelty experience on tourist overall satisfaction. The results further reveal that the degree of psychic distance i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the perceived novelty experience, which supports the effectiveness of psychic distance concept in predicting the novelty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tourist behavior through the re-constructed concept of novelty. ■ keyword :|Psychic distance|Novelty experience|Tourist Satisfaction| 관광객의 심리적 거리가 신기성경험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45 Ⅰ. 서 론 관광객은 일상의 환경과 다른 관광지의 새로운 사회 적 · 문화적 · 자연적 환경에 대한 경험을 통해서 관광지 의 매력을 인식하고 평가한다. 많은 관광학 문헌들에서 공통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관광행동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 또한 새로움에 대한 경험이라고 볼 수 있다. 일상 생활과 다른 환경을 경험하는데서 오는 새로움이라는 의미를 내포하는 신기성 개념은 관광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 의제로서 오랫동안 대두되어 왔고[1], 여러 실증 연구들 또한 신기성 추구 욕구가 관광행동의 주요 동인이라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2-6]. 이렇듯 신기성 이 관광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신기성 관련 문헌들은 다소 편향된 시각을 노출 시키고 있다. 기존 문헌들에서는 신기성을 오로지 관광객 동기의 한 요소로서만 접근하고 있으며, 관광객의 경험측면을 배제하고 있다. 즉, 신기성을 단순 히 여행 동기의 한 측면만이 아닌, 관광객이 관광지를 경험한 후 발생하는 지각의 한 형태로서 조사하려는 연 구 노력은 아직까지 미흡한 상태이다. 관광동기로서의 신기성을 관광객이 관광활동을 통해 추구하는 편익이라고 한다면, 신기성 경험은 관광객들
doi:10.5392/jkca.2011.11.11.444 fatcat:r32ti32c6zao5kj7cemftifuk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