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bopride-Induced Parkinsonism

Chae Young Lee, Bohm Choi, Bosong Hwang, Myeong jin Son, Minwoo Lee, Jinhyuk Yoo, Ki hoon Sung, Soo-Jin Cho, Jooyong Kim, Ki-Han Kwon, Suk Yun Kang
2016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클레보프라이드(clebopride)는 도파민D2수용체에만 선택적으로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치환 벤즈아마이드계(substituted benzamides)로 기능성 소화불량이나 구토 완화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 화기약물이다. 안전한 약물이지만 중추신경계에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파킨슨증, 급성근긴장이상증(acute dystonia), 지연증후군 (tardive syndrome) 그리고 신경이완제악성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가 발생할 수 있다. 1 지금까지 해외에서는 파킨슨 증을 포함하여 클레보프라이드와 관련된 이상운동증에 대한 증례 보고가 있었고 1 국내에서는 2편의 연구에서 약물유발파킨슨증 원 인약제로 클레보프라이드를 언급한 적은 있으나, 2,3 임상증상과 도 파민운반체영상을 포함한 뇌영상을 함께 보고한 적은 없었다. 이 에 클레보프라이드 사용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고 임상적 유용성 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73세 여자
more » ... 가 떨림, 운동완만, 자세불안정 때문에 병원에 왔 다. 내원 5개월전 발생한 교통사고로 요추 골절이 발생하여 다른 병원 정형외과에 입원하여 보존적인 치료를 받았다고 하였다. 환 자는 입원한 이후부터 양쪽 상지떨림, 운동완만, 그리고 자세불안 정이 발생하여 잘 넘어진다고 하였다. 사고 이후 환자는 불안과 우울증이 심해졌다고 하였다. 또한 자 는 동안에 꿈에서 하는 행동을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여 렘수면장 애(rapid eye movement sleep behavior disorder)를 의심하였다. 인지기능저하를 호소하지는 않았고, 후각기능은 정상이었다. 상지 떨림은 6년 전부터 양손에 나타났다고 하는데, 과거에는 물건을 집 거나 수저질을 할 때와 같이 움직이는 경우에만 있었으나 최근에 는 가만히 있는 경우에도 발생한다고 하였다. 과거력에서 약 6-7년 전 폐색전증과 뇌경색이 있어서 항응고제 복용 중이었고, 비슷한 시기에 요추추간판탈출증으로 인해 수술도 받았다. 6-7년 전부터 우울증으로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약물치료 중이었다. 교통사고 이후 정형외과에서 약을 추가로 처방받아 복 용 중이었다. 약 8년전부터 변비가 있었다. 약물 복용력은 다음과 같았다. 6-7년 전부터 와파린(warfarin, 3
doi:10.17340/jkna.2016.3.22 fatcat:c5dgiauxnjcppf3wrdcnqy7r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