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Rice Bran, and Red Ginseng by Mixed Ratios
발효된 홍삼 미강 대두의 혼합비율에 대한 항산화와 항노화 효과

Jeong-Hyeon Son, Bae-Jin Ha
2013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aging activities of mixed rates 2:6:2(262), 6:2:2(622) and 4:4:2(442) of fermented soybean, fermented rice bran, fermented red ginseng based on the comparision with their separate results of our three previous studies. The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262, 622 and 442 mixed ratios were evaluated by the determination of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linoleic acid
more » ... activtiy, elastin synthesis activity, and cell viability of B16F10. The material of 442 ratio showed the higher effects than those of 262 and 622 ratios, and presented the higher effect than the separate material of red ginseng in the antioxidative and antiaging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aterial of 442 ratio in the production of red gineng-containing cosmetics could be preferred as a useful cosmetic ingredient for antioxidation and antiaging. 노화란 모든 신체 기관과 세포에 걸쳐 일어나는 기능, 구조, 생화학적 변화라 할 수 있다. 피부의 노화는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자연적으로 섬유아세포의 작용과 세포수가 감소하여 collagen, elastin, fibroin 등의 세포 외 기질 단백 질의 합성 양이 줄어들고, 이에 따른 피부의 구조가 느슨 해지거나, 탄력이 감소하며 세포 내 수분 양이 손실되며 나타나는 생리적 노화(chronological aging)와 바람, 온도, 습도, 담배, 자외선 등의 외부인자에 의해 활성산소종이 발 생하게 되고 이 때 발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촉진되 어 activator protein-1 (AP1)과 nuclear factor κB (NF-κB)의 활성화에 인한 염증작용이 증가되며 피부를 구성하는 여러 지질, 단백질, 효소 등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외인성 노화 (extrinsic aging) 으로 나누어진다 1,2) . 피부 노화의 대표적 인 증상은 주름의 발생으로, 이는 피부 진피조직의 교원 질 중 콜라겐의 많은 감소에 의해서 발생하게 된다 3) . 피 부에서 발생한 활성산소종이 세포막을 공격하여 산화가 일어나고 이 때 발생한 산화된 지질에 의해 세포막이 손 상되어 정상적인 피부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여러 가지 효소적인 항산화활동의 균형이 흐트러지게 되며, 이 러한 과정의 지속적인 반복은 주름을 유발하게 되는 원인 이 된다 4) . 인삼(ginseng)은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며 느리 게 자라는 다년생초이다 5) . 이를 고온에 쪄서 말린 것을 홍 삼이라 하며, 인삼의 대표적인 성분은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ginseng+glycoside)로서 다른 식물에서 발견되는 사포닌과는 다른 독특한 구조 및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 또한 홍삼에서만 나타나는 ginsenoside Rg2, Rg3, Rh1, Rh2 등의 특이성분은 암 예방, 암세포 성장 억 제, 혈압강하, 뇌신경세포보호, 항혈전, 항산화작용 등이 있다고 보고되어져 있다 7) . 미강은 현미를 도정할 때 나오는 부산물로 단백질 11-15%, 탄수화물 34-62%, 섬유질 7-11%, 지질 15-20% 그 리고 회분 7-10% 등으로 구성되어 영양적으로 우수한 것 으로 평가되고 있다 8) . 또한 미강에는 α-Tocopherol, α-Tocotrienol, γ-Tocopherol, γ-Tocotrienol 및 γ-Oryzanol 등
doi:10.13103/jfhs.2013.28.4.354 fatcat:usogkygltjfx7kn6gbadygcdx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