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ortance and Utilization Strategy for Company & Research Institute
기업과 연구기관의 경쟁정보의 중요성 및 활용전략

Yun-Seock Lee, Soon-Jik Hong
2013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1. 서 론 기업경영 및 연구개발(R&D)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경쟁 기업이 무엇을 연구하고 있고,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다른 어떤 전략수립보다 중요하다 고 할 수 있다. 현대의 치열한 시장 경쟁 속에서 기업이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장의 움직임, 국내외 법제도 현황, 경쟁기업의 연구개발 (R&D) 동향, 고객반응 등의 다양한 요소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 등 경쟁정보(Competitive Intelligence, CI)에 대한 체 계적 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시의적절하고 정확한 의사결 정을 내려야만 한다. 경쟁기업과 관련된 정보를 추적하고 활용하는 시스템은 미래에 닥쳐올 수 있는 위협을 사전에 회피하고 기회를 선점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시장에서 경쟁 력을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될 수 있다. CI 시스 템을 효과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기업의 이윤 및 연구개발 의 효율성을 확연하게 제고 시킬 수 있다. 전쟁에서 승리 하기 위해
more » ... 가 적과 아군의 실정을 분석하고 전쟁 시 기, 장소 등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듯이, 글로벌 기술개발 경쟁 속에서 다른 국가들보다 한발 앞서 기술개발을 성공 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경쟁국들에 대한 정 보를 분석하여 연구개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즉, 손무 의 말처럼 적(경쟁국)을 알고 아군(우리나라)를 알아야 전 쟁(기술개발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1]. 메가트렌드를 읽지 못해 무너진 대표적인 기업이 코닥 이다. 코닥은 소니가 디지털카메라를 개발해 판매하기 시 작했음에도 기존 필름카메라 사업에만 몰두하다가 결국 경영난으로 문을 닫게 되었다. 메가트렌드 정보는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로서 굉장히 중요하다. 메가트렌드를 읽지 못해 한 때 경영난에 허덕였던 IBM 역시 "R&D나 사업을 할 때 메가트렌드를 봐야한다"고 주장한 바 있으 며 자체적으로 '글로벌 마켓 트렌드'라는 보고서를 만들고 있다. 메가트렌드 정보는 미래의 기술발전 방향과 전망을 탐색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메가트렌드 정보 및 기술 동향정보를 바탕으로 미래 유망 기술을 발굴하게 되면 경 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사회적 기회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1]. 글로벌 무한 경쟁의 시대에 그 어떤 기업도 무제한적인 자원을 확보할 수는 없다. 따라서 경쟁사와 시장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인 수집, 분석, 예측을 통하여 기업의 경쟁 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경쟁정보 시스템의 확보는 매우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Futures Group Survey 에 의하면[2] 매출 100억 달러 이상의 미국 기업 중 82% 가 조직화된 경쟁정보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경쟁정보를 사용하는 주요기업들로는 Microsoft, IBM, Proctor & Gamble, General Electric, Hewlett-Packard, Coca-Cola, Intel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부 대기업 에서 실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거나 민간 컨설팅 기관에서 시행하고 있으나 체계적으로 추진되지는 못하고 있다. 컨설팅 기업인 Accenture가 최근 미국과 영국 주요 기업의 중간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의하면, 응답 자의 반 이상이 그들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정보를 확보하는데 애로를 겪고 있으며 조직내부에서는 구할 수 없었다고 답하였다. 또한 불행하게도 그들이 필요한 정보를 받았을 때 그 정 보는 궁극적으로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하였다. CI의 목
doi:10.4150/kpmi.2013.20.5.388 fatcat:t6rg3z5bxzfkbk4yaajcrtan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