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ematical Analysis of Service Motion by Stance Types in Tennis Serve
테니스 서브 스탠스 유형에 따른 서비스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2008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Kim, Sung-Sup * ․Kim, Eui-Hwan (YongIn University) 국문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 고등학교 테니스 선수 7명을 대상으로 테니스 서브 스탠스 유형(pinpoint stance, platform stance)에 따른 서비스 동작의 운동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빠른 서브를 구사할 수 있도록 지도할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데 있다. Pinpoint Stance는 백스윙국면에서 뒷발을 앞발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신체중심(COM)과 라켓의 많은 움직임 으로 인해 소요시간이 Platform Stance 보다 0.04초 길게 소요되었다. 발을 이동하면서 골반부위를 앞으로 이동시켜 서 몸을 활처럼 많이 휘게 함으로써 백스윙부터 임팩트까지 파워를 낼 수 있는 구간을 넓혀 COM과 라켓의 속도 를 빠르게 하여 서브의 속도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는 스탠스임을 알 수 있었다. Platform Stance는 백스윙국면에 서 발의 이동이 없기 때문에 COM과 라켓의 작은
more » ... 임으로 인해 소요시간이 Pinpoint Stance 보다 0.04초 짧게 소요되었다. 발의 이동이 없어서 파워를 낼 수 있는 구간을 좁혀 COM과 라켓의 속도가 느리게 나타났지만 중심의 안정감을 높여 서브의 성공률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스탠스임을 알 수 있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inematical variables involved in two types of service motion in tennis pinpoint and platform stance, to find the fastest serving method. Seven skilled high school tennis players participated, and the kinematics were recorded by the Vicon motion analysis system. For the gathering and analysis of the data workstation, bodybuilder and polygon were used. During the back swing for the pinpoint stance, as the back leg moves forward the COM and the racquet moves more, thus taking 0.04 seconds longer than the platform stance. The body of the subject takes a bow-shape as the subject's foot moves back and their hip moves forward. This movement enables the subject to create more power during the backswing to impact. It also increases the spread of the COM․racquet and the serve speed is increase. As there is no forward movement of the foot during the backswing of the platform stance, the COM and the racquet move less and thus the time required is shorter than that for the pinpoint stance by 0.04seconds. Similarly, the time spent creating the power for the serve is shortened, the COM․racquet is narrower and the speed is lessened. However, the advantage of this serve is that it increases the stability.
doi:10.5103/kjsb.2008.18.1.147 fatcat:gjhooahnbjau3ciu3y6lrvpt2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