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Performance of Motor System for City Bus
노선버스용 구동모터 시스템의 성능평가

Yoon-Ki Lee, Kwang-Jae Myong
2011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1. 서 론 도시노선버스는 여객운수 수송수단으로써 가감속 이 빈번하고 입석승객이 많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모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전기동력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한층 더 효율적이고 가속성능, 승차감 등의 면에서도 유리 한 점이 많다. (1~3) 최근에는 승용차는 (4~6) 물론 대형차에 대해서도 하이브리드 시스템 등의 전기동력 방식을 도입 하려는 연구개발이 활발하며, 선진국에서는 이미 다양한 시스템의 전기구동 버스가 보급되어 시범 운행중에 있다. (7~9) 국내의 경우, 하이브리드버스나 전기버스와 같은 전기구동버스는 아직 보급 전단계로써 현대자동차 및 대우버스 등은 2010 년 초중반 경에 대도시를 중심으로 시장투입 계획을 세워 현재 연구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전기구동 노선버스는 승용차와 비교하여 차체 중량이 무겁고, 사용환경이 혹독하여 고출력 및 강인한 내구성이 요구되므로 고압, 고전류의 인버터, 모터, 축전장치 및 고압 보기류 (Air Compressor,
more » ... S Pump 등) 구동을 위한 DC/DC 컨버터 등의 요소부품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들에 대한 시험 및 Abstract: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hybrid system for passenger cars as well as for heavy-duty vehicles has become more intensive. An electric powertrain system using an electric motor can replace conventional gasoline and diesel engines. The electric motor has a higher efficiency, better acceleration performance, and is more comfortable than conventional powertrain systems; however, new methods for assessing power performance and energy convergence efficiency have to be investigated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an electric motor are entirely different from tho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a motor (PMSM: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test bench. One simple driving mode and four other driving modes identified from real-world driving data of a city bus were selected to perform the experiment on the motor test bench. Then, methods for assessing the acceleration performance, energy convergence efficiency, regenerative effect, etc.,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energy efficiency of PMSM was about 90% and that 40% of demand energy was regenerated. † Corresponding Author, kjmyong@cst.ac.kr
doi:10.3795/ksme-b.2011.35.2.189 fatcat:35sajzg6kjgt3cqbcbnr6bsp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