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Long-Term Shoreline Changes for Beaches Near Bangpo Port Using Aerial Imagery
항공사진을 이용한 방포항 인근 해빈의 장기간 해안선 변화 분석

Baeck-Oon Kim, Kong-Hyun Yun, Chang-Kyung Lee
2013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To analyze tendency of temporal and spatial change of shorelines and to estimate rate of shoreline changes using long-term shoreline change data is very important for the coastal environmental management. In this stud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rate of shoreline changes using long-term shoreline change data from the year 1985 to 2009 aerial photographs. In this process aerial triangulation, GPS surveying and digital mapping was done for the estimation of changes. As the
more » ... s, shorelines of Bangpo and Kkotji Beach retreated at a maximum rate of 0.2 m/yr and 0.8 m/yr, respectively. The shoreline could be changed by various factors. However, it was presumed that coastal erosion has been mainly affected by retaining wall constructed in the late 1990s. 요약 : 장기간 해안선 변화 자료의 구축을 통해 해안선의 시·공간적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 하여 해안침식의 향후 경향을 파악하는 일은 연안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항공 사진을 이용하여 방포항 인근 해안지역의 장기간(1985년 ~ 2009년) 해안선 변화 탐지를 위해 항공삼각측 량, 지상기준점측량, 수치도화, 그리고 해안선 변화율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방포해빈과 꽃지해빈의 해안 선은 각각 0.2 m/yr와 최대 0.8 m/yr로 침식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등고선 변화 통하여 꽃지 해빈의 북부지역에서 침식현상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표고 1 m 간격의 등고선은 최대 45 m 후퇴하였음을 알
doi:10.7780/kjrs.2013.29.5.3 fatcat:r7ed5qhz3jhfjdtphj67ddnh7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