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roach to the Patient with Hypertension Accompanied by Hypokalemia

Yoon Jung Kim, Ohk-Hyun Ryu
2017 Korean Journal of Medicine  
증 례 50세 남자가 양측 하지의 무력감으로 응급실에 왔다. 응급 실 방문 전날 저녁 운전 후 차에서 내리는 도중에 다리에 힘 이 풀려서 걷지 못하는 증상이 있었다. 33세에 고혈압, 당뇨 병을 진단받고 amlodipine 5 mg, carvedilol 12.5 mg, nebivolol 5 mg, olmesartan 20 mg, hydrochlorthiazide 12.5 mg, glimepiride 4 mg, metformin 500 mg을 복용하고 있었다. 혈압은 190/120 mmHg이었으며, 혈액 검사에서 blood urea nitrogen 10.8 mg/dL, creatinine 1.0 mg/dL, Na 146 mEq/L, K 1.9 mEq/L, Cl 100 mEq/L, total CO2 36 mEq/L였으며, HbA1c 6.8%였다. 저칼륨 주기성 마비(hypokalemic periodic paralysis)가 의심되 어 입원하였다. 진 단 고혈압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more » ... 며 한국에서는 30세 이 상 성인 인구의 약 30% 정도가 고혈압을 가지고 있다[1]. 전 체 고혈압의 85% 이상은 뚜렷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일차 성 고혈압이지만, 5-15% 정도는 다른 원인을 가지는 이차성 고혈압이다[2,3]. 세 가지 이상의 고혈압약제를 복용하고 있 음에도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고혈압의 이차적인 원인 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4]. 이차성 고혈압을 일으키는 원 인은 표 1과 같다. 본 원고에서는 이차성 고혈압이 의심되는 환자 가운데 저칼륨혈증이 동반될 경우 어떤 알고리듬을 따 라 진단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저칼륨혈증으로 내원한 고혈압 환자의 진단 저칼륨혈증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그 원인을 확인하기 위 해 우선 소변에서 배출되는 칼륨(K + )의 양을 측정한다(Fig. 1) [5]. 저칼륨혈증이 있으면서 소변으로 배설되는 칼륨이 15 mmol/day라면 transtubular potassium gradient (TTKG)를 계산 해서 신장으로의 소실 여부를 확인한다. TTKG > 4로 칼륨이 신장에서 소실되고 있다면, 혈압과 혈장의 상태를 확인해야 하며 증례처럼 혈압이 높거나 또는 혈장량이 많다면 혈장 알 도스테론과 레닌 활성도를 측정한다. 알도스테론이 높으면 서 레닌 활성도가 억제되어 있다면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의
doi:10.3904/kjm.2017.92.4.387 fatcat:7hl2e3dulrarfggnmygpnizh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