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 Mobile Application for Promoting Risk Communication on Food Additives Based on the Information Needs of Parents
학부모의 정보요구도에 기초한 식품첨가물 위해정보전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Suna Kim, Ye jee Kim, Ji-Sun Kim, Jeong-Weon Kim
2015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information needs about food additives from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develop a smartphone application (App) providing information about food additives, and finally to assess its educational effects. A survey was conducted in April 2013 b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otal 358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the par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ile purchasing processed foods,
more » ... rents considered safety (40.5%)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first checking item except production and expiration dates was origin labelling (35.4%), and chose foods with less food additives (63.1%). Parents recognized food additives as the most dangerous (42.7%), and 75.1% responded the level of danger as 'very dangerous'. However, 82.4% of parents didn't have experiences to get educations about food additives. Based on their information needs including the safety, legal standards and the foods containing food additives. a smartphone App designated as 'Catch up Food Additives' consisting of the definition, safety, food labelling guideline, management, animation about food additives was developed. When the App was exposed to the parents (n = 27), their negative perceptions on food additive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howed that providing information and education about food additives using smartphone App was very fast and effective for the promotion of risk communication on food additives with the parents. Development of a Mobile Application on Food Additives 133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섭취수준 또 한 안전한 수준임을 발표해 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초등학생 7) , 중학생 8) , 고등학생 9) , 대학생 10) , 주부 11) , 학부 모 12) , 예비교사 13) 등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식품첨가물을 식품 안전을 가장 위협하는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 한 최근 6년간 식품첨가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추이를 분석한 결과 14) 에서도 30~40대 학부모들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크게 변화하지 않아, 식품첨가물의 효 과적인 안전관리를 위한 위해평가(risk assessment)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위해정보전달(risk communication) 노력 이 절실함을 입증하고 있다. So 등 15) 의 연구에서도, 소비 자 대상 식품안전 교육 및 홍보 활동을 하고 있는 소비자 단체를 대상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수준 및 정보요 구도를 파악한 결과, 식품첨가물을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물질로 인식하였고, 정부의 안전관리에 대한 신뢰도가 매 우 낮았으며, 교육 및 홍보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인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식품첨가물의 효율적인 위해전 달을 위한 교육 및 홍보가 매우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모바일을 이용한 무선 인 터넷의 이용과 스마트폰 사용이 급증하면서 교육방식에 있어서도 스마트러닝(smart learning)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정보 및 지식에 대한 접근성과 신 속성을 특징으로 하여 소비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혁 신적인 도구로 간주되고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앱)의 개발 현황을 비교해 보면 도서, 게임, 오락에 이어 교육용 앱이 다수 개발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6) .
doi:10.13103/jfhs.2015.30.2.132 fatcat:5bfzjkti6zb2npmrmhjjfi77v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