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nstruction Plan of the Statistics for National Green House Gas Inventories(LULUCF Sector)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LULUCF 부문 통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Seon Cheol Yu, Wook Ahn, Jin A Ok
2015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ion the plan of the statistic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of international standards. Currently, the statistics of the greenhouse gas inventories of South Korea, has a problem that is not able to build the changed information. In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limi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within each categor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argeting Gyeonggi province, we analyzed the land use change by utilizing the various
more » ... on such as satellite images, KLIS, UPIS. As a result, we suggested the following implementation, classification system of LULUCF category, improvement of accuracy by utilizing satellite images of high resolution, additional research for methodology. Based on these contents, we suggested the construction plan of the statistic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LULUCF sector). Fri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of land use change informations for the past 20 years, Then, it need to create the matrix of land use change by utilizing satellite images and various land information systems. 2010년 기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총 배출량은 699 백만 톤CO2eq로 세계6위에 해당하는 온실가스 多배 출 국가이다[2]. OECD 국가 순위로는 미국, 일본, 독 일에 이어 4위이며, 1인당 배출량은 7위를 차지하였 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감축을 위 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여 시행해 왔다. 2011년 개발 도상국 대상 권고안(BAU 1) 대비 15~30% 감축)에서 감축목표를 최고수준으로 설정하여 2020년까지 BAU 대비 30% 감축을 자발적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감축 전략이 필요하다. 정부는 2010년 저탄소 녹색성장 기 본법 시행령 및 국가 온실가스 총괄관리 규정[3]을 마 련하여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5개 부문(에너지, 산 업, 농축산, LULUCF 2) , 폐기물)에 대한 통계를 체계적 으로 구축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2015년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IPCC 3) 지침(GPG2003 4) )에 따른 LULUCF
doi:10.12672/ksis.2015.23.3.067 fatcat:fae2zbsn3za4nlohnqu7tue3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