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plant regeneration from the Belamcanda chinensis
범부채 (Belamcanda chinensis)의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제의 영향

Hye-Kyoung Kwon, Kyoung-Hwa Yoo, Eui-Soo Yoon
2010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To establish the optimum conditions of in vitro plant regeneration, the leaf, rhizome, and root explants of Belamcanda chinensis were cultured on th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2,4-D and BA. The callus induction was more effective in the root explants than the leaf and rhizome explants, and was the best on MS medium containing 3.0 mg/L 2,4-D or 1.0 mg/L 2,4-D and 3.0 mg/L BA. The highest numbers of shoots were regenerated when callus were cultured on MS medium
more » ... ing 3.0 mg/L 2,4-D for 4 weeks. However, the multiple shoots were induc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the combination of 2,4-D and BA. The normal root formation from shoot was effective on the MS medium lacking any plant growth regulators. For acclimatization, the regenerated plantlets were cultured on MS medium without sucrose and plant growth regulators for 2 weeks, and then transferred to the pot. 서 론 범부채 (Belamcanda chinensis)는 붓꽃과 (Iridaceae), 범부 채속 (Belamcanda)에 속하는 뿌리줄기가 발달한 여러해 살이 초본식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산지 나 바닷가에서 서식한다. 범부채라는 이름은 봄에 나오 는 싹이 난초처럼 나란히맥을 가진 길쭉한 잎이 서로 포 개어 안으며 달리는데 그 모습이 마치 펼친 쥘부채와 같 아 "부채"가 되었고, 꽃이 황적색 바탕에 붉은 반점이 박 혀 표범의 몸 같아 범의 부채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 다 (Lee 2003). 줄기는 옆으로 짧게 뻗는 뿌리줄기에서 곧 게 나와 서고 7~9월에 줄기 윗부분의 끝에서 꽃이 핀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사간 (射干)이라고 불리며 약재 로 이용하기도 한다. 범부채의 뿌리줄기에는 belamcandin, tectorigen, tectoridi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소염작용 항혈관생성억제작용 (Jung et al. 2003), 항산화 작용 (Jung et al. 2004), (Hong et al. 2008) 등 다양한 약리작용을 갖는다. 또한 범부채는 변종이나 동일속의 식물이 아직까지 발 견되지 않은 1속 1종 식물로 (Shim 1988) 내한성, 내건성 이 강해 화단, 조경, 분식용으로 유용한 자생식물이며 개 화기간이 길어 관상용으로 이용가치가 높아 화훼작물로 서의 개발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자연상태에서 범부 채의 열매는 잘 맺는 편이나 성숙된 열매가 매우 단단하 여 자연조건에서의 발아율이 매우 낮아 번식에 큰 어려 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관상용과 약재용으로 무분별한 채취와 자생지의 훼손으로 오늘날 개체수가 감소되었다. 이에 자연조건에서 범부채의 효율적인 번식을 위하여, 명조건에서 종피 제거 처리에 의해 범부채의 종자 발아 율이 촉진되었다고 보고되었다 (Park et al. 1995). 그러나 종자 발아를 통한 범부채의 생산은 단시간 내에 안정적 으로 대량 생산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지금까지 붓꽃과 식물의 번식은 주로 뿌리줄기에 의한 분주 번식을 이용 하고 있으나, 이들 식물의 뿌리줄기는 1년에 한두개만 분 열할 뿐만 아니라 세대가 경과함에 따라 뿌리줄기의 퇴 화가 일어나므로 번식의 속도가 매우 느리다 (Yabuya et al. 1991).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조 직을 통한 조직배양의 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doi:10.5010/jpb.2010.37.3.337 fatcat:5yq3ndpldnd3fleqwupkree6b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