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Hotel Employee' Followership on Service Orientation
호텔구성원의 팔로워십이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Sang-Woo Lee
2013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on hotel HR management through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relation with voluntary behaviors that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work functions and also hotel employee' perceived followership contributing to achievement of hotel's goals. As study methods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suggested above, we aim to conduct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study. The data are analyzed by such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ore » ... 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SPSS 10.1 and AMOS 4.0 for Windows program was used to investigate material. The major find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 The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followership and revealed that 'critical thinking' and 'enthusiasm' dimensions of but 'active participation' dimension of followership has not affected service orientation. The expected effects through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 it is expected that the theory about followership will be extended by verifying the causal relation between followership and internal mental state. Second, it is also expected to be able to suggest alternatives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service and emphasis of the importance of hotel employee'. ■ keyword :|Hotel Employee|Followership|Service Orientation| 호텔구성원의 팔로워십이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451 I. 서 론 정보통신의 발달과 함께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경 영환경에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경영전략 연 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특히 여러 나라 의 경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산업 에서 경영전략은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경영전략의 중요한 요소로 인적자원을 제 시하고 있다[1-3]. 인적자원은 서비스산업의 기본적인 생산요소로서 서비스 품질을 창출하는데 결정적 역할 을 한다. 인적자원에 관한 연구는 서비스산업 중에서도 호텔을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구방 향은 재무적․비재무적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인 적자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동기부여를 유도하는 리더십 관련 연구로 정리된다[4]. 재무적 성과에 대한 연구는 객실투숙률․총매출액․ 종업원결근율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비재무적 성과에 대한 연구는 직무만족․조직몰입 등을 들 수 있다[5-7]. 그 중에서 인적자원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 는 리더십과 관련된 연구이다[8][9]. 호텔과 관련된 리 더십 연구를 살펴보면 조직유효성과 관련하여 효과적 인 리더십을 검증하고 이를 실무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 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는 리더에 의해 조직이 좌우되고 리더의 능력에 의해 성과가 결정 된다는 관점으로 리더와 구성원 상호간의 유기적 관계 가 아닌 일방적인 관계 즉, 리더의 측면이 강조되는 반 본 연구의 구성개념에 대한 타당성분석은 탐색적 요 인분석을 활용하였다. 세부적으로 주성분 분석을 통한 varimax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고유치를 바탕으로 1.0 보다 큰 요인에 대하여 요인화 하였다. 팔로워십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KMO 측도는 .791, Bartlett의 구형성 검정결과   =1251.524, df=66, p<.001로 측정개념 모두가 요인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출된 요인을 비판적 사고, 능동적 참여, 열정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신뢰성분석은 Cronbach 알 파값을 사용하였으며, 알파값이 모두 0.7이상으로 나타 나 신뢰성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서비스지향성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KMO 측 도는 .827, Bartlett의 구형성 검정결과   =888.948, df=28, p<.001로 측정개념 모두가 요인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출된 요인을 구성원 권한, 교육훈 련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신뢰성분석은 Cronbach 알파 값을 사용하였으며, 알파값이 모두 0.7이상으로 나타나 팔로워십과 마찬가지로 신뢰성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 로 판단된다. 타당성분석과 신뢰성분석 결과를 정리하 면 [표 1][표 2]와 같다.
doi:10.5392/jkca.2013.13.06.450 fatcat:mkvz3uhx6jdkjltwc7rwo33ke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