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py of this work was available on the public web and has been preserved in the Wayback Machine. The capture dates from 2017; you can also visit the original URL.
The file type is application/pdf
.
Impacts of Asian Dust on Atmospheric Environment
황사의 대기환경영향
2011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황사의 대기환경영향
1. 서 론 황사는 중국과 몽골의 사막, 황토고원, 만주 등에서 발생하여 강한 바람을 타고 장거리를 이동한 흙먼지 이다. 기상청에서는 PM 10 이 일정 농도 이상이거나 가 시적으로 흙먼지를 관찰할 수 있을 때 황사를 판정하 므로(기상청 보도자료 2007. 2. 9) 황사는 물질명이기 보다 현상에 가깝다. 황사 발원지에 인위적 오염원이 거의 없기 때문에 황사는 대부분 광물질로 구성된 광 물먼지(mineral dust)이다. 황사는 우리나라에서 사용 하는 용어이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는 아시아 먼지(Asian dust)이다. 이때 먼지(dust)는 1 μm 이상의 조대입자 (coarse particles)를 지칭하는데 장거리를 이동한 먼지를 황사라고 할 뿐 기본적으로 도로비산 먼지 등과 유사하다. 그러나 먼지라고 하면 생활 주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 27 권 제 3 호 Abstract ACE-Asia (Asian Pacific Regional Aerosol
doi:10.5572/kosae.2011.27.3.255
fatcat:awcdcwjarfcknmffizrpsiaun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