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fulness of Myotonometer for Measurement of Tissue Compliance on Medialis Gastrocnemius in Patients with Stroke
뇌졸중 환자에서 내측 비복근의 조직탄성 측정을 위한 Myotonometer의 유용성

Sea-Hyun Bae, Jeong-In Lee, Kyung-Yoon Kim
2012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족관절 저측굴근 경직에 대하여 Myotonometer와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를 이용하여 경직의 정량적 평가에 유용한 지표를 알아보고, 이 지표들과 임상적으로 평가되는 modified Ashworth scale(MAS)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족관절 저측굴근의 경직평가는 물리치료사 5명(임상경력 5년이 상)이 MAS를 이용하여 MAS 2, 3, 4 해당 군에 각 5명씩을 무작위로 15명씩 배정하였다. 각 군의 조직탄성과 근활 성 측정은 Myotonometer와 sEMG로 이완(relaxed)상태와 최대 수의적 수축(contracted)상태에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MAS 등급이 높아짐에 따라 이완과 수축상태 간의 조직저항도 전위차와 근활성도의 차이는 작아졌고, 상관관계 분석 에서도 MAS 등급이 높아질수록 이완 시보다 수의적 수축 시 실린더가 받는 낮은 강도에서의 상관성이 더 높아짐을 확인할 수
more » ... 다. 따라서 Myotonometer는 경직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인체의 관절에 비교적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경직의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경직의 평가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useful parameters of the between myotonometer and surface electromyography(sEMG) on the medialis gastrocnemius of stroke patients and investigate between these parameters and modified Ashworth scale(MAS) relationship. 5 years clinical experience physical therapist using the Modified Ashworth Scale(MAS) was selected 15 patients with ankle spasticity and divided randomly MAS2, MAS3, MAS4 groups. Myotonometer and sEMG was measured during relaxed and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s of the gastrocnemius muscl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higher MAS score was the lowered the relaxation and contraction state tissue compliance and muscle activity an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higher MAS score during voluntary contraction in the cylinder receiving low-intensity correlation could see that increased than relaxation. Therefore, the myotonometer is a useful clinical and research tool with spasticity muscle and can provide objective quantitative data about the efficacy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doi:10.5762/kais.2012.13.3.1129 fatcat:5rlp4r6vvnf7nkf5lzrjradq2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