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py of this work was available on the public web and has been preserved in the Wayback Machine. The capture dates from 2017; you can also visit the original URL.
The file type is application/pdf
.
Usefulness of Myotonometer for Measurement of Tissue Compliance on Medialis Gastrocnemius in Patients with Stroke
뇌졸중 환자에서 내측 비복근의 조직탄성 측정을 위한 Myotonometer의 유용성
2012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뇌졸중 환자에서 내측 비복근의 조직탄성 측정을 위한 Myotonometer의 유용성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족관절 저측굴근 경직에 대하여 Myotonometer와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를 이용하여 경직의 정량적 평가에 유용한 지표를 알아보고, 이 지표들과 임상적으로 평가되는 modified Ashworth scale(MAS)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족관절 저측굴근의 경직평가는 물리치료사 5명(임상경력 5년이 상)이 MAS를 이용하여 MAS 2, 3, 4 해당 군에 각 5명씩을 무작위로 15명씩 배정하였다. 각 군의 조직탄성과 근활 성 측정은 Myotonometer와 sEMG로 이완(relaxed)상태와 최대 수의적 수축(contracted)상태에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MAS 등급이 높아짐에 따라 이완과 수축상태 간의 조직저항도 전위차와 근활성도의 차이는 작아졌고, 상관관계 분석 에서도 MAS 등급이 높아질수록 이완 시보다 수의적 수축 시 실린더가 받는 낮은 강도에서의 상관성이 더 높아짐을 확인할 수
doi:10.5762/kais.2012.13.3.1129
fatcat:5rlp4r6vvnf7nkf5lzrjradq2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