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conomic Impacts of Single Golf Resort and Integrated Golf Resort
단일골프리조트와 복합골프리조트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분석

Ju-Ho Park, Sang Hoon Kim, Se Hee Hong
2017 Hanguk cheyuk hakoeji  
요약 본 연구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국내 단일골프리조트와 복합골프리조트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비교하여 현재 단 일골프리조트 산업의 경영악화에 대한 대안으로서 복합골프리조트를 평가하였다.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4개 지 역의 회원제 단일골프리조트 45개와 복합골프리조트 6개의 감사보고서를 이용하여 공급측면에서 리조트 운영의 경제적 파 급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수요측면에서 각각의 두 리조트 내장객 450명과 432명 대상 설문조사를 통하여 리조트 이용의 경 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단일골프리조트와 복합골프리조트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골프장 1홀당 파급효 과로 표준화한 결과, 단일골프리조트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가 484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93억 원, 고용 유발효과 약 2,683명으로 나타났으며, 복합골프리조트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가 2,061억 원, 부가가치유발 효과 804억 원, 고용유발효과 11,058명으로
more » ... 끝으로, 단일골프리조트의 복합골프리조트화를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이를 뒷받침해줄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다양한 기관들의 역할도 중요하다. 주요어: 단일골프리조트, 복합골프리조트, 경제적 파급효과, 산업연관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conomic induced impacts of single golf resorts and integrated resort industry in Korea using an input-output analysis model. For the research, 45 golf resort's audit reports, 6 integrated resort's audit reports, 450 golf questionnaires and 432 integra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And then, average expenditure, total expenditure and coefficient were calcul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andardized induced economic impacts based on induced impacts per 1 holes, for the single golf resorts, the induced production was ₩48.4 billion, the induced added value was ₩19.3 billion and the induced employment was 2,683 persons. For the integrated golf resorts, the induced production was ₩206.1 billion, the induced added value ₩80.4 billion and the induced employment was 11,058 persons. In conclusion, the support of various sectors includi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s well as private sector were essential to transform integrated golf resort from single golf resort.
doi:10.23949/kjpe.2017.11.56.6.18 fatcat:sadizr5lorcphahv62n5w6mg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