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idelines of Treatment for Non-bleeding Peptic Ulcer Disease

Dae Young Cheung, Hwoon-Yong Jung, Ho June Song, Sung Woo Jung, Hyun Chae Jung
2009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Over the past century, since the introduction of non 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antacid, histamine H2-receptor antagonists (H2RA), proton pump inhibitors (PPI), and discovery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the paradigm of peptic ulcer disease has changed with marked decrease in morbidity and mortality. However, peptic ulcer disease still occupies a position as a major health problem with increase of aged population and NSAIDs usage. In daily general practice, the management
more » ... peptic ulcer disease is direct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bleeding or not. For non-bleeding peptic ulcer disease, proper acid suppression and the correction of underlying causes such as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NSAID use is the main stay of treatment. Though a complete understanding of pathophysiology and a perfect treatment strategy are still a challenge, this guideline aims to provide practical recommendations based on evidences or consensus of experts through in-dept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meeting.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285-297) 서 론 소화성궤양에 대한 치료는 지난 한세기 동안의 의과학 진 보와 더불어 급격히 발전하였다. 소화관 생리학을 근거로 1970년대 H2 수용체 길항제, 1980년대 양성자 펌프 억제제 (proton pump inhibitor, PPI)가 개발되어 치료에 적용하게 되 었고 1984년 Marshall과 Warren에 의한 헬리코박터 균의 발 견은 1 소화성궤양의 병인에 대한 시각과 치료의 근간을 변 화시키기에 이르렀다. 이에 20세기 중반까지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가지는 난치 만성질환으로서 외과 수술이 근치 치 료였던 소화성궤양은 20세기 후반에 위산억제와 헬리코박 터 제균 요법을 근간으로 하는 내과 약물 치료로 치유 가능 한 질환으로 그 인식이 변화하였다. 소화성궤양의 발생 빈도에 대하여 국내의 조사는 충분치 않으나 국제적으로 연간 발생률은 0.10-0.19%이며 연간 유 병률이 0.12-1.50%로 과거에 비해 감소하였다. 2 이는 현대 본 론 1. 비출혈 소화성궤양의 정의 소화성궤양은 임상적으로 활동기, 치유기, 반흔기의 병기 를 가지며 활동기의 궤양은 출혈을 동반할 수 있다. 4 이러한 활동기의 궤양은 내시경으로 관찰되는 궤양저의 상태에 따 라 활동 출혈이 있는 궤양, 출혈은 없으나 혈관이 노출된 궤 양, 응고된 혈괴가 궤양저에 부착된 궤양, 편평한 궤양저에 서 적색 또는 흑색의 점이 있는 궤양, 깨끗한 궤양저를 가진 궤양으로 구분이 가능하여 이러한 형태학적인 특성은 궤양 의 재출혈 위험도와 일치한다. 5,6 이번 가이드라인에서 비출 혈 소화성궤양은 궤양의 일반적인 정의에 따라 괴사된 점막 상피의 탈락으로 점막하층이 노출된 병변으로 궤양저에서 활동성의 출혈이나 노출된 혈관이 없는 경우로 정의하며 궤 양의 병기에서는 활동기와 치유기의 궤양을 포함한다. 2. 원인에 따른 소화성궤양의 치료 접근 1) 헬리코박터 연관 소화성궤양 헬리코박터 감염에 의해 발생한 소화성궤양에 대하여 헬리코박터 제균은 궤양을 치료하고 재발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근거 수준 -높음, 권고 등급 -높음). 궤양의 치료를 위하여 헬리코박터 제균 기간을 포함 하여 총 4주에서 8주 동안 항궤양 제제를 투여한다(근 정대영 외 4인. 비출혈 소화성궤양 치료의 가이드라인 287 거 수준 -중등도, 권고 등급 -중등도). 헬리코박터 감염은 NSAID와 더불어 소화성궤양 발생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십이지장궤양의 약 90%와 위궤양의 약 70%에서 헬리코박터 감염이 있다. 최근 공중 위생의 개 선으로 인해 헬리코박터의 감염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최근의 국내 조사에서 헬리코박터 유병률은 약 40%이며 20 세 이하의 인구에서는 12.5%로 낮은 연령층에서의 감염률 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7,8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화성궤양 환자에서 헬리코박터 감염률은 56.8%로 우리나라에서 헬리 코박터 감염은 여전히 중요한 소화성궤양의 원인인자이다. 8 헬리코박터 감염에 의해 유발된 소화성궤양의 치료는 질 환 발생의 원인 인자인 헬리코박터를 제균하는 것이 근본적 인 치료이다. 헬리코박터 제균 요법은 십이지장궤양에 대하
doi:10.4166/kjg.2009.54.5.285 pmid:19934610 fatcat:2cxszentjbd7npaozwdykleyy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