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py of this work was available on the public web and has been preserved in the Wayback Machine. The capture dates from 2018; you can also visit the original URL.
The file type is application/pdf
.
The Correlation Analysis of Fluid Intake, Skin Hydration and Skin pH of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수분섭취, 피부 수분보유도 및 피부 pH와의 관계
2015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대학생의 수분섭취, 피부 수분보유도 및 피부 pH와의 관계
1. 연구의 필요성 수분은 신체의 60-70%를 구성하고 조직으로 영양소 공급, 노폐 물 배출, 체온과 신진대사 조절 및 각 기관의 정상적인 기능을 돕는 필수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생명을 유지하고 건강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절한 양의 수분을 섭취하여야 한다. 세계 여러 나라와 기관에서는 적절한 범위의 수분섭취량을 제시 하였지만,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한국 성인의 수분섭취량이 권장 섭취량보다 부족하였고[1], 미국 성인은 고체음식에서 18%, 물(pure water)에서 34%, 음료(beverage)에서 48%의 수분을 섭취하였으며[2], 영국 성인은 물에서 40.7%, 음료에서 59.3%의 수분을 섭취하였다[3]. 또한, 현대인의 32.8.%는 적절한 수분섭취량을 알지 못하였고 48.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oi:10.7586/jkbns.2015.17.2.132
fatcat:cxyme4wtknbvzoqde3k6tbqbi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