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and Daily Average Temperature in the South Korea
우리나라 강수량과 일평균기온의 시.공간적 특성변화 분석

Won-Hyun Lee, Seong-Hyun Hong, Youn-Gyu Kim, Eun-Sung Chung
2011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cent changed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precipitation and daily average temperature in the South Korea. 65 weather stations were grouped, based on their latitudes and longitudes and the recent variabl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each latitude and longitude were derived, quantitatively. In addition, the Mann-Kendall trend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tendency (upward/downward/no trend) of rainfall and temperature. From these analyses, it was shown
more » ... hat the precipitation of zone 1 (33 o -34 o ) has increased by 7% and the rate of increase showed 5%~18% as the latitude went up. During summer, the rate of precipitation increase has increased as the latitude went up.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summer, the rate of precipitation increase has increased as the longitude went up. On the whole, average temperature has been increased as the latitude went up. The Mann-Kendall trend analysis derived that the temperature of South Korea has increased except zone 2 (34 o -35 o )and summer period and the precipitation on latitude 36 o~3 8 o and longitude 126 o~1 30 o has increased during summer. Since this study showed the recent climate change trend in detail, it will be a preliminary data for the research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요 지 본 연구는 1991년 이전부터 관측을 시작한 65개 기상청 관측소의 강수량과 평균기온 자료를 이용하여 2000년 이전으로 대 표되는 과거 자료와 2001년 이후로 대표되는 최근 자료를 계절별로 분석하여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관측소를 위도, 경도별로 각각 분류하여 강수량과 일평균기온의 특성을 2000년 이전과 2001년 이후에 대해 비교하였다. 또한 증감 여부를 확 인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Mann-Kendall 경향성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위도별 분석 결과 일평균강수량의 경우 33 o~3 4 o (제주도)에서는 7%이상의 증가율을 보였고 남부지방에서 북부지방으로 위도가 올라갈수록 증가율이 5%~18%까지 증가 하였다. 계절별로 살펴보면, 여름의 경우 위도가 증가함에 따라 강수량의 증가율도 증가하였다. 경도별 분석 결과 130 o~1 31 o (울 릉도)에서 평균적으로 30%이상의 증가율을 보였고 서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증가율의 추이가 여름철의 증가 경향으로 인해 증 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평균 기온은 위도 39 o~4 0 o 에서 가을철과 겨울철의 기온차가 최대 1.0 o C 이상 증가하는 추이를 보 이고 있으며 경도가 129 o~1 30 o 에서 특징적으로 기온이 상승했다. 또한 경향성 분석결과 일평균기온의 경우 일부 지역(34 o~3 5 o ) 과 여름철을 제외하면 전국적으로 봄, 가을, 겨울에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강수량의 경우 여름철에 36 o~3 8 o , 126 o~1 30 o 지역에 집중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우리나라 기후변화 경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 대비 적응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핵심용어 : 강수량, 시·공간적 변화, 일평균기온, Mann-Kendall 경향성 분석 ·································································································································································································································· 1. 서 론 최근의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물 순환이 변하고,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 및 범람이나 극심한 가뭄, 기온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폭염 및 혹한 등의 극한 사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그 형태는 점차 대형화되 고 있다. 이로 인해 인명피해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사회 기 반시설의 취약성이 커질 뿐만 아니라 인간의 행복까지 위협 받을 수 있다(Kunkel et al., 1999). 특히 2000년 이후 강 수와 기온의 변화는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도 예
doi:10.9798/kosham.2011.11.4.073 fatcat:xi4s7w2ncbhzxn663nupuf7el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