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py of this work was available on the public web and has been preserved in the Wayback Machine. The capture dates from 2019; you can also visit the original URL.
The file type is application/pdf
.
An Encounter with the Transcendental Being: W. B. Yeats and Ethics of the Other
2008
The Yeats Journal of Korea
실재[신]는 하나도 다수도 조화도 불화도 아니기에 <상(相) 없는 구체>(phaseless sphere)로서 상징 된다. 하지만 인간의 경험에서는 모든 것들이 일련의 대립(antinomy)으로 퇴락할 110 윤 일 환 수밖에 없기에 궁극적 실재는 사유되는 순간 내가 지금 <13번째 원추>로서 묘 사한 것이 되고 만다"(V 193). 신의 궁극적인 실재가 사유되는 순간, 스스로 충 만한 구체(Sphere)는 인간에게 원추로 보이게 된다(V 240). 신비의 경험은 이성 의 잣대로는 잴 수 없는 것이며, 이 경험이 일어나는 곳은 신의 본성이나 신성 함이 인간의 정신에 구현되는 지점이외에 어느 곳도 아니다. <상 없는 구체>로 상징된 신의 궁극적인 실재는 다시 <13번째 원추>로 명명되는 과정을 겪는다. <13번째 원추>의 명명 후에 예이츠는 이를 다른 모든 원추와, 특히 "시공" (時空)의 구체(cycles of 'time and space')와 구별한다(V 210). 시공의 구체는
doi:10.14354/yjk.2008.30.107
fatcat:lcacboqktfa5pntgyspzdlhcj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