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py of this work was available on the public web and has been preserved in the Wayback Machine. The capture dates from 2018; you can also visit the original URL.
The file type is application/pdf
.
High-resolution Simulation of Meteorological Fields over the Coastal Area with Urban Buildings
건물효과를 고려한 연안도시지역 고해상도 기상모델링
2010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건물효과를 고려한 연안도시지역 고해상도 기상모델링
1. 서 론 최근 부산지역에서 나타난 연안지역 건물 고층화 현상은(Choi et al., 2005) 도시 기상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예로 부산 지역에서 관측된 장기간의 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에 의하면 최근 국지적 고층화 현상이 집중되었던 연안지역에서 풍속약화 및 기온증가 등의 변화가 뚜 렷하게 나타났다(오인보 등, 2008). 즉 건물 고층화 현 상이 국지/도시규모의 기상조건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과학적 평가가 필요하며, 이는 도시생활환경 뿐만 아니라 연안 대기질변화를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관측망의 한계와 고층화 현상으로 보다 많 은 관측망이 필요해진 현실을 고려해 볼 때 건물효 과를 고려한 상세 수치모델링 방법 개발과 적용은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 26 권 제 2 호 Abstract A meso-urban meteorological model (Urbanized MM5; uMM5) with urban canopy
doi:10.5572/kosae.2010.26.2.137
fatcat:kykvtqomhvfzdp5kzxfzdapq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