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Algorithm to Estimate Urine Volume from 3D Ultrasound Bladder Images
3D 초음파 영상에서 방광 내 잔뇨량 추정을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

Tae Sik Cho, Soo Yeol Lee, Min Hyoung Cho
2016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For the patients with bladder dysfunction, measurement of urine volume inside the bladder is very critical to avoid bladder failure. In measuring urine volume inside a bladder, low-resolution 3D ultrasound images are widely used. However, urine volume estimation from 3D ultrasound images is prone to big errors and inconsistency because of low spatial resolution and low signal-to-noise ratio of ultrasound images. We developed a new robust volume estimation algorithm which is not computationally
more » ... xpensive. We tested the algorithm on a lab-built ultrasound bladder phantom and volunteers. The average error rate of the human bladder volume estimation was 5.9% which was better than the commercial machine. I. 서 론 방광 질환을 가진 환자의 방광 내 잔뇨량을 측정하는 것 은 매우 중요하다. 방광 내 소변이 꽉 차는 것을 느끼지 못 하는 환자로부터 소변을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은 방광 의 파열이나 기능 부전 심화를 막는데 도움이 된다[1]. 의 료영상 장비인 MRI, CT, 초음파 장비 등을 이용하여 비침 습적으로 방광 내 잔뇨량의 부피를 추정할 수 있는데 특히, 공간해상도가 높은 MRI와 CT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얻 고, 이로부터 방광의 부피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는 연 구결과가 있었다[2,3]. 하지만 MRI를 이용하여 방광 내 잔 뇨량을 측정하기에는 비용이 너무 크게 들고, CT를 이용하 는 경우 높은 비용에 더하여 환자에게 과도한 방사능을 노 출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방광 내 잔뇨량을 하루에 몇 번 씩 반복적으로 측정하는데 MRI와 CT를 사용하는 것은 현 실적이지 않으며, 이들은 방광 신경조직의 관찰이나 암 진 단 등 중증질환 진단에 이용된다. 따라서 비침습적이고 상 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초음파 장비를 이용하여 방광 내 잔뇨량을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급형 초음파 장비는 2차원 배열형 트랜스듀서를 이용하 여 3D 영상을 고속으로 얻어 내는데[4], 이러한 고급형 초 음파 장비를 잔뇨량 측정에 사용하는 것은 비용적인 측면에 서도, 임상 인력의 효율적 활용 측면에서도 적합하지 않다. 반면에 2~3개의 단면 영상만을 이용하여 방광의 부피를 추 정하는 고전적인 방법은 정확도가 낮고, 측정치가 일관적이 지 못한 문제가 있다[5-8]. 최근 연구에서는 초음파 프로브 를 회전시키면서 다수의 단면 영상을 얻고, 이를 토대로 3D 입체 부피를 얻는 방법이 개발되었다[9]. 본 논문에서는 여 러 개의 초음파 단면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입체의 부 피를 얻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방법은 방광 벽을 추 출하는 알고리즘과 추출된 방광 벽 영상으로부터 3D 부피 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진다.
doi:10.9718/jber.2016.37.1.31 fatcat:e7tyrd6acrevjn2bpnodudaad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