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ffering Scale of Family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Kyung Ah Kang
2011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uffering of family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Methods: This research was a methodological study processed as follows: 1) The preliminary 32 items were developed based a conceptual framework of suffering for patients with cancer. 2) The content was validated by an expert panel (n= 24) and the family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s (n= 33). 3) The instrument was validated by survey
more » ... 92). Finally, 29 items were selected in developing final version of the scale. Results: Seven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 economical distress' , 'loss of meaning in life' , 'feeling of social isolation' , ' emotional distress' , 'burnout' , ' guilty feeling' , and 'physical discomfort' . These factors explained 66.94% of the total variance. Cronbach' s alpha and Guttman Split-half coefficient of the 29 items were .93 and .92.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cale identifi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with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to assess the degree of suffering of family in palliative care settings. 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방법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 우 연간 10만여 명이 암진단을 받고 있고, 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매 년 6만 5천 명 이상으로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어 2) 암환자 및 그 가족의 삶의 질 증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말기 암은 환자뿐 아니라 그 가족에게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말기 암환자와 가족은 그들의 고통경험을 공유함으로 인해 서로 힘든 시간을 보내게 된다. 가족 돌봄자들은 환자 간호 시 계속된 긴 장으로 인해 면역 기능이 저하되며 속쓰림, 소화불량 등 위장관계 증상과 피로와 수면부족 등으로 인해 질병에 걸릴 위험성이 커서 신체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환자 돌봄으로 인해 사 회적 관계가 위축된다. 3-5) 또한 말기 암환자 가족들은 환자들의 분 노, 우울, 극심한 통증,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지켜보면서 자신들도 분노, 우울, 불안 및 죽음에 대한 예비적 슬픔을 경험함에도 불구하 고 자신의 힘든 감정을 노출할 수 없어 고통을 겪는다. 6,7) 또한 핵가 족화 및 여성의 사회 진출의 증가로 상대적으로 말기 환자를 돌보 는 부담이 커졌으며 8) , 환자를 돌보기 위해 직업을 상실하거나 수입 이 감소되는 등 경제적 부담으로 인한 고통을 경험한다. 6,9) 더욱이 말기 암환자 가족들은 환자가 살아있는 동안은 물론 사별 이후까 지 상실로 인한 슬픔으로 장기간에 걸쳐 신체, 심리, 사회적, 영적으 로 고통을 받으며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6,10) 최근 말기 암환자 돌봄의 방향은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초점을 두 고 있다. 4) 의료진은 말기 암환자의 통증이나 고통정도를 사정할 때 에 대부분 가족이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보조, 투약, 정서적 지지 등
doi:10.5388/jkon.2011.11.1.49 fatcat:ivavlpuybbdznk324xy3eom72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