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echnology Diffusion Model Based on Technology Policy: The Case of Solid-State Lighting Technology Diffusion in the U.S
정책변수를 고려한 확산모형의 연구 - 고체조명(Solid-State Lighting : SSL) 기술을 중심으로

Mei-Yue Jin
2011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Technology policy has a substantial impact on the diffusion of a new technology. This paper uses technology policy as a variable in the general epidemic model to quantify the effects of the policy on technology diffus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using data on solid-state technology diffusion in the U.S. indicate that technology policy plays a positive role in technology diffusion and provide a firm basis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policy and technology
more » ... usion through the use of quantitative data. 요 약 기술정책은 신기술 확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전염병 확산 모형을 기초로 정책변수를 추가한 신기술 확산모형을 구축하고, 미국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에 응용되는 고체조 명(Solid-State Lighting) 기술을 사례로 실증연구를 진행하는 것이다. 실험결과, 정책변수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정책은 신기술의 확산에 추진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책적 역할에 대한 정량적 이해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정량적 판단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정책변수와 신기술 확산의 정량적 관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doi:10.5762/kais.2011.12.6.2522 fatcat:fki4gsskczbi7bkhihcp2gcnc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