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Mass Index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atients with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Kuen Tak Suh, Seong Jang Kim, Jung Sub Lee
2007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자기공명영상 검사(MRI)는 반월상 연골판 손상 등의 슬관절 내 구조물의 이상을 진단하는데 높은 민감도 와 특이도를 보이며 관절경 검사와 비교 시 MRI의 정확 도는 45%에서 98%까지 보고되고 있다 6,7) . 양동이 손잡 이형 반월상 연골판 파열의 MRI 소견은 대퇴 양과 내의 절편(fragment within the intercondylar notch sign), 나비 넥타이 형태(bow tie sign)의 소실, 이중 전각부 징 후(double anterior horn sign), 전위된 연골판 징후 (flipped meniscus sign), 후각부의 불균형(disproportional posterior horn sign) 그리고 이중 후방십자인대 징후(posterior double PCL sign) 등으로 분류된다 9) . 이 중 후방십자인대 소견은 양동이형 반월상 연골판 파열 시 중앙부로 전위된 절편이 과간 절흔에 감돈(incarceration)되어, 후방십자인대의
more » ... 하방에서 후방십자인대와 평행한 음영을 보이는 것으로 있는 상태를 반영한다 9,10) . Among the MRI signs of meniscal bucket handle tears, a doubl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sign manifests on the sagittal images as a low signal band anterior and parallel to the PCL. The mesially displaced fragment may be confined to the intercondylar notch. However, the torn fragment is rarely displaced to the posterosuperior region of the PCL. If it does occur, separation at the anterior horn may be assumed. We propose this type of lesion be called the posterior double PCL sign in contrast to the ordinary double PCL sign. We present a case showing the 'posterior double PCL sign' accompanying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K e y W o rd s : Medial meniscus, Bucket handle tear, Double PCL sign 통신저자:장 종 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300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관절센터
doi:10.4055/jkoa.2007.42.1.125 fatcat:pai3mfd3anbxbp56gwmefrcf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