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 and MR Imaging of Primary Nasal Lymphoma: Usefulness at Initial Diagnosis and Follow-up

Eung Yeop Kim, Dong Gyu Na, Hong Sik Byun, Young Hyeh Ko, Sung Wook Choo, Seung Hun Kim, Yeon Hyeon Choe, Jae Min Cho, Sang Hee Choi, Hye Kyung Yoon
1998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6/7) , 비슷한(1/7) 음영을 나타냈고, 전례에서 종양은 비강점막과 비교하여 T2강조 MR 영상과 조영 증강 T1 강조 MR 영상에서 약간 낮은 신호강도를 나타냈다. 종양의 모양은 전 례에서 비강 벽의 미만성 비후를 보이며 벽을 따라 파급되는 침윤 형태를 나타냈으며 5예에 서 용종형의 형태를 동반하였다. 종양과 주변 비강 점막과의 경계는 초기 진단 시 CT (n= 7)의 경우 1 예를 제외하고 병변의 일부분에서 불명확하였으며, T2강조영상에서는 모 든 예 (n= lO)에서 경계가 명확하였다. 추적검사 시 CT와 MR 영상을 동시에 시행한 2예에 서 잔류 종양의 평가에 있어서 CT보다 MR영상이 우수하였다. 결 론 : 비강 NK/T세포 럼프종은 비강 벽 비후와 비강 벽을 따라 침윤하는 특정적 인 소 견을 나타냈고 종양의 경계 및 침윤 정도의 파악과 추적검사 시 잔류 종양의 진단에 있어서 CT 보다 MR영상이 우수하였다. 절외 ( extranodal) 비호즈킨 렴프종의 약 삼분의
more » ... 일이 두경 부에서 발생하지만 동비강 (sinonasal cavity) 에서는 드물게 발 생하며 (1 -4) , 동비강의 렴프종은 다른 부위의 럼프종보다 상 대적으로 예후가 나쁘다고 알려져 있다 (3, 5, 6). 동비강에서 발 생하는 렴프종 중에서 비강에서 생기는 것은 동서양에 관계 없 이 거의 예외 없이 T 세포 기원이며 부비 (paranasal) 럼프종의 경우 대개 B 세포 기원이라고 알려져 있다 (7). 최근에 원발성 비강림프종이 부비림프종보다예후가나쁘며 나타나는형태도 다른 것으로 보고되었다 (8). 또한 과거에 다형성 세망증 (poly morphic reticulosis) , 악성 중심성 세망증 (malignant midline reticulosis) 또는 치명적 중심성 육아종(lethal midline granuloma) 등으로 불리먼 질병이 원발성 비강 NK (natural killer) /T 세포 럼프종이며 이는 임상적, 병리학적으 l 성균관대학교의과대학상성서울병원 진단방사선과학교실 2 성균관대학교의과대학삼성서울병원 진단병리과학교실
doi:10.3348/jkrs.1998.39.5.857 fatcat:3hjaphi4vnhwro46byvgerrw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