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mforming Performance for Phased Array-Fed Reflector Antenna
위상 배열안테나 급전부를 포함한 반사판 안테나의 빔포밍 특성

Sungjun Yoo, Chiho Lee, Seon-Kyo Kim, Hosung Choo
2019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Print)․ISSN 2288-226X (Online) 190 Ⅰ. 서 론 위상 배열안테나는 단일 급전 안테나 시스템에 비해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어 항공 및 선박에 장착되는 레이 다와 같은 응용 분야에 필수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1] . 위 상 배열안테나를 이용한 다중 빔 안테나는 고이득 및 빔 조향 특성을 가지고 있어 최근 위성시스템 체계에 적용시 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2] . 위성시스템 체 계의 경우, 저궤도(250~2,000 km), 중궤도(2,000~36,000 km), 정지궤도(36,000 km) 등에서 지구로부터 미약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높은 이득 성능을 갖는 안테나가 요구 된다. 고이득 및 다중빔 특성을 도출하기 위한 안테나는 대표적으로 다수의 안테나를 배열안테나로 확장한 직접 방사 배열(direct radiating array)과 반사판과 개별안테나 급전부로 구성된 단일 급전 반사판 안테나(single-fed reflector antenna)가
more » ... 이 사용된다 [2] . 직접 방사 배열의 경 우, 넓은 조향각 범위에서 배열안테나의 빔조향이 가능하 지만, 설계의 복잡도 및 물리적인 크기가 증가하는 단점 이 존재한다. 단일 급전 반사판 안테나의 경우 고이득 도 출이 가능하지만, 빔조향 손실(scan loss characteristic)이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fund Abstract In this study, the beamforming characteristics of a reflector antenna, such as a phased array antenna, as a feeder have been studied. The beamforming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observing the actual steering angle of the reflector according to the diameter, the F/D of the reflector, and the number of array elements of the feeder. In addition, the beamforming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by measurement using a reflector of 1.5 m diameter and a four-element log-periodic dipole array(LPDA).
doi:10.5515/kjkiees.2019.30.3.190 fatcat:gr3drd6fvjapxaxmgvaqipg4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