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Version of the Theory of Mind Test and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Mind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Young Mi Choi, Hee Hwa Kim, Sung Wook Jeong, Lee-Suk Kim
2019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and Objectives Theory of Mind (ToM) refers to the ability humans have for recognizing the mental states of others and for predicting or explaining other people's behavior. ToM is an essential ability people have for living with other people because it influences social relations, and the deaf children have been reported to have problems in ToM. As there are no ToM assessment tool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such a version and to examine the early development of ToM of
more » ... 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I). Subjects and Method The original tools for ToM assessment were translated in Korean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oM assessment tools were investigated with fifty normal hearing (NH) children. The early development of ToM of sixteen children with CI was compared with that of age-matched children with NH. Results The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oM assessment tools was determined by tests for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he validity of the tools was also evaluated by the tests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M between children with CI and those with NH.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oM assessment tools was established and the assessment showed that the early development of ToM of deaf children, who received early intervention using CI, was comparable to that of NH childre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9;62(2):82-8 Key Words Children ㆍCochlear implant ㆍTheory of mind.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ory of Mind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 Choi YM, et al. www.kjorl.org 83 기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타인의 마음 상태를 읽 을 수 있는 추론 양식을 가리켜 마음이론이라고 명명하였다. 이후 마음이론은 발달심리학에서 '유아가 타인의 마음을 이 해하는가'라는 주제로 활발하게 연구되었는데, 4세 무렵이 되면 타인의 마음을 분명하게 이해하고, 3,4) 속임수나 풍자와 같은 고차원적인 마음이론은 학령기에 획득된다. 즉 마음이 론은 아동기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능력이다. 5-7) 아동의 마음이론 발달이 사회성 발달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유아기 아동의 마 음이론은 그들이 형성하는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또래 관계는 다시 더 높은 수준의 마음이론을 발달시키는 데 기여 한다. 8,9) 마음이론이 부족한 아동은 좋은 또래관계를 형성하 지 못해, 사회적 기술이 좋은 집단에 소속되지 못함으로써 마 음이론을 지속적으로 발달시킬 기회를 얻지 못하게 된다. 10,11) 따라서 아동이 사회적 관계를 잘 형성하고 원만하게 유지하 기 위해서는 연령에 맞는 마음이론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난청 아동은 정상청력 아동에 비해 마음이론이 부족한 것 으로 보고되었다. 한 연구에서는 건청 부모에서 태어난 난청 아동의 마음이론이 자폐성 장애 아동의 마음이론 만큼 나빴 다고 보고하였다. 12) 또한 보청기를 착용한 난청 아동도 언어성 과제는 물론 비언어성 과제를 사용하였을 때에도 정상청력 아동에 비해 마음이론이 심각하게 지연 발달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13,14)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마음이론은 정상청력 아동 에 비해 부족하다는 보고가 많지만 15-17)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어 18,19) 연구 결과들이 일치하지 않으며, 아직 국내에 서는 조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마음이론에 대해 보고된 바 가 없다. 마음이론은 Hutchins 등 20,21) 이 개발한 ToM-Task Battery (ToM-TB)와 ToM-Inventory(ToM-I)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검사는 2~12세 사이 아동을 대상으로 마음 이론을 평가하는 도구이다. 이 중 ToM-TB는 아동을 대상으 로 마음이론을 직접 평가하는 도구이고 ToM-I는 아동의 마 측정하는 원문항은 "If I said "Let's hit the road!" my child would understand that I really meant "Let's go!""인데, "Let's hit the road"가 "Let's go"와 동일한 뜻이라는 것을 이해하 는지를 묻는 내용이었다. 번안본에는 우리나라 6~8세 아동 이 이해한다고 보고된 관용어 중에서 관용어의 특성을 잘 반영하면서도 가장 쉽다고 판단되는 관용어를 채택하여 "식 은 죽 먹기"를 "매우 쉽다"로 이해하는지를 묻는 내용으로 수 정하였다. 22) 말놀이를 측정하는 원문항은 "If I said "What is black, white and 'read' all over?" "It's a newspaper!" my child would understand the humor in this play on words."이다. 이는 아동이 이러한 유머를 이해하고, read가 색깔 red와 같 은 발음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하는 내용이었다. 우리 언어에 서는 의태어, 의성어, 관용어, 감탄어, 사자성어와 같이 언어 유형에 따라 다양한 말놀이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말놀이 중 에서도 가장 쉽고 원문항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바와 동일한 '발음의 유사성'에 대한 이해를 담고 있는 말놀이를 채택하여 번안본에는 "세상에서 가장 빠른 닭은 후다닥"이라는 수수 께끼를 이해하는지를 묻는 내용으로 수정하였다. 23) 번안본은 아동가족학과 교수 1인과 경력 5년 이상의 언어치 료사 3명, 2~12세의 자녀를 키우고 있는 어머니 7명에게 문 항의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바와 일치하는지와 번안된 문 항의 내용이 명료하게 전달되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최 종본을 완성하였다. 보여 이 두 가지 검사는 준거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또한 아동의 REVT 점수와 두 가지 한국어 마음이론 검 사 점수도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두 가지 검사의 공인타 당도가 확인되었다(Table 6).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초기 마음이론 발달 한국어 ToM-TB 점수는 인공와우이식 아동군과 정상 청 력 아동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908). 한국어 ToM-I 점수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792)(Fig. 3). 고 찰 본 연구는 한국어 마음이론 검사도구를 확립하기 위해 시 행되었다. 이를 위해 저자들은 영문 마음이론 검사도구를 한 국어로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번안 과정 에서 동시번역, 역번역 등의 번안 절차를 준수하였고 문화적 동등성을 유지하였으며,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어 마 음이론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로써 마음이론을 측정할 수 있는 한국어 검사도구가 마련되었다. 마음이론은 타인의 마음 상태를 이해하는 능력이다. 여러 연구를 통하여 유아도 마음이론을 가지고 있어, 타인의 마음 과 행위의 관계를 이해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3,4) 유아기에 형성된 초기 마음이론은 더 복잡한 고차위 마음상태를 이해 하는 기초가 되며, 아동이 형성하는 또래관계에 중대한 영향 을 미친다. 8,9) 또래관계는 아동이 맺는 첫 사회적 관계이며 학 교 적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24) 초기 마음이론의 결 함은 또래관계 형성을 어렵게 하고 학교 부적응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25) 유아기부터 마음이론이 잘 발달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많은 보고들은 말지각력, 말명료도, 그리고 언어능력 등을 인공와우이식의 효과와 청각재활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하고 있으며, 조기 인공와우이식을 시행하고 적절한 청각재활치료 를 받은 경우에는 정상 혹은 정상에 가까운 구어의사소통능 력을 획득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26-28) 하지만 조기 청각 재활의 궁극적인 목표가 구어의사소통능력 획득에 기초한 일반 구어 사회로의 성공적인 통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구 어의사소통능력 획득 여부 외에 아동의 사회정서적 능력을 평가하는 추가적인 검사도구가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소개한 마음이론 검사도구는 인공와우이식 아동 의 사회정서적인 적응 능력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3세 이전에 인공와우이식을 받고 자신의 생활 연령에 적합한 언어능력을 획득한 학령전기 인공와우이식 아 동의 마음이론은 정상 청력 아동의 마음이론과 비교하여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조 기 중재의 효과가 언어능력 발달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정서적 측면에서도 정상적인 발달을 유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학령전기 마음이론은 초기 마음이론인 만큼, 이후 학령기와 청소년기에 발달하는 고차위 마음이론에서도 정상 청력 아동과 유사한 발달을 보일지 후속 연구를 통해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마음이론을 임상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는 연령별 정상치 규준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상치 규준 설정 을 위한 후속 연구를 시행할 계획이다.
doi:10.3342/kjorl-hns.2018.00367 fatcat:6jrirc53xbf2zh6edhd24rltp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