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characteristics of total IgE in pediatric allergic disease

Ji Young Ahn, Bong Seok Choi
2017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혈청 총 IgE와 알레르겐 특이 IgE는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을 위 한 검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혈청 총 IgE치는 천식, 알레르기비 염, 아토피피부염 등의 여러 알레르기 질환에서 높은 경향을 보이 나 그 정상범위가 광범위하고 알레르기 질환 외에 비알레르기성 요 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을 위한 검사로써 의 역할이 제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3 특이 IgE는 CAP 이나 multiple allergen simultaneous test (MAST) 또는 피부단자시 험을 통해 측정하며 알레르기 항원의 양성반응에 따라 알레르기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CAP이나 MAST의 경우 비용적 측 면의 제한점이 있으며, 피부단자시험의 경우 연령이나 약물 복용 여부, 피부 질환 여부 등의 제한점이 있다. 특이 IgE를 측정하는 것 외에, 알레르기 질환의 유무 결정을 위한 혈청 총 IgE 농도를 찾기 위해 여러 연구들이 시도되었으나 적절한 경계를 찾는 것은
more » ... 어려웠 다. 1 또한 최근 혈청 총 IgE는 특이 IgE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 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소아 에서 알레르기 질환에 따른 혈청 총 IgE 농도 및 혈청 총 IgE와 특 이 IgE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doi:10.4168/aard.2017.5.4.200 fatcat:4jzpmpru5zgepihpm3usculk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