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Parental Media Mediation Types on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Broadcasting Rating System
부모의 미디어 중재유형이 청소년의 방송프로그램 등급제 실효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Wonsook Song, Jae Woong Shim
2016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parental media mediation types on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broadcasting rating system. A total of 520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showed a higher utility of 'autonomy-supportive restriction' strategy by the parents led to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rating system. This study argues that parents need to pursue a mediation strategy in which a rationale for prohibiting
more » ... ia contents use should be provided and in which the perspective of the adolescent is taken seriously. ■ keyword :|Parental Media Mediation|Broadcasting Rating System|Adolescent| [2]. 등급제의 효과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낮은 가 운데, 청소년은 학부모에 비해 등급제의 효과를 훨씬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3]. 최근 발표된 연구보고서에 따 르면, 만14~18세 남녀 청소년 1,000명 중 47%가 청소년 에게 유해한 정보를 차단하는데 등급제의 효과가 없다 고 응답했다[4]. 정부는 사안이 불거질 때마다 등급제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 왔지만, 등급제는 본연의 취 지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등급제는 미디어 지형의 변 화와 함께 더 중요한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이 개인화(privatization)되고 이들의 미디 어 이용 전반을 자세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등 급제는 청소년이 콘텐츠 시청여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로서의 의미를 갖 기 때문이다. 그동안 등급제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들은 많았다[1][3][5][6]. 그러나 등급제의 실효성을 어떻게 높일 것인가에 관한 연구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7]. 사회인지이론에 근거할 때[8], 청소년들이 등급제의 실 효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실제 유해한 콘텐츠에 노출된 경우 시청중단이나 시청포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vantage point in parental mediation of television and child's attitudes toward drinking alcohol,"
doi:10.5392/jkca.2016.16.09.386 fatcat:rc7eda3ilrgzhf5ti6tncjqxi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