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py of this work was available on the public web and has been preserved in the Wayback Machine. The capture dates from 2021; you can also visit the original URL.
The file type is application/pdf
.
Hypereosinophilia secondary to Sézary syndrome
2021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lymphocytes, Sézary cells)의 증식과 침윤을 특징으로 한다. 1,2 전체 피부 T 세포 림프종의 유병율은 100만 명당 6.4명이며 Sézary 증후군은 그 중 약 5%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3 진단은 임상 증상, 병리조직학적 소견 그리고 검사실 소견 등을 토대로 이루어 진다. 3 호산구증가증은 말초혈액검사에서 1 μL당 1,500개 이상의 호산 구증가증이 4주 간격으로 2회 이상 확인되거나, 조직검사에서 호 산구 침윤이 발견되는 경우로 정의한다. 4 다양한 악성 종양에서도 호산구증가증이 동반될 수 있는데, 호지킨병, B-또는 T-림프종/백 혈병, 랑게르한스세포조직구증, 전신비만세포증 등과 같은 조혈 세 포 종양에서도 호산구증가증이 동반될 수 있다. 5 드물게 Sézary 증 후군 환자에서 과호산구증이 보고되었다. 6-8 그러나 국내에서 과호 산구증을 동반한 Sézary 증후군의 보고는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과호산구증과 홍피증으로 내원하여
doi:10.4168/aard.2021.9.2.93
fatcat:23dt5pemw5b4xagi5rkmrs3s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