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ocial Capital, Labor Intensity and Incivility on Job Burnout in Pediatric Nurses
Jung Mi Kang, Won Soon Kim, Hun Ha Cho
2017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labor intensity and incivility and effects the job burnout in pediatric nurses. Methods: A survey is conducted with 186 nurses working in pediatric units at 10 hospital in B, Y, K city.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1.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és 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 score of 3.31 out of 5 for the
more »
... vel of social capital, a score of 3.16 out of 5 on the labor intensity, and 2.20 points on a 5 point on incivility, 4.15 points on a 7 point on job burnout. Job burnout explained 21.7% of the variance in incivility, social capital-shared values, job satisfaction, and labor intensity.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ajor factors effecting pediatric nurses job burnout are incivility. Thus, in order to reduce pediatric nurses job burnout are to investigate degree of incivility, it is nes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to incivility and labor intensity that reduced organizational level of measures need to establish. 져 있다[7]. 특히 양질의 아동간호 제공을 위한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의 파트 너십은 아동실무영역의 핵심 사안이며[8], 부모와 간호사간의 신뢰를 통한 적절한 관계 유지는 아동의 치료에 중요한 요인이다[1]. 따라서 부 모와의 파트너십 향상을 위한 환경적 조건을 변화시켜줄 수 없다면 팀 원들 간의 신뢰와 협력을 통한 조직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켜 동기부여 를 높여주고 이직의도 및 소진을 줄여줄 수 있어야 한다[9]. 사회적 자 본은 개인과 집단의 상호협력을 촉진시켜 조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본이며, 사회적 자본이 높은 간호사가 일하는 데 있어 더 많 은 행복감을 느끼며 환자와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직무 만 족은 높아지고 소진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10]. 또한 간호사의 사 회적 자본은 조직에 대한 냉소주의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쳐 이직의 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9]. 그러나 한국에서 간호사의 사 회적 자본은 거의 연구되지 않아 아동간호사의 직무소진 관련요인으 로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적 상호관계가 형성되지 못했을 때 직원이 상대하는 상사, 동료, 타 직종, 외부 고객 등의 모든 관계에서 타인에 대한 존중이 부족 한 무례한 행동이 나타난다[11]. Hutton[12]은 보건의료기관에서 무례 함은 만연된 문제라고 주장하였고, 간호사는 선배, 환자, 보호자, 의사 의 무례함에 대해 무조건 사과하거나 잊어버리려 노력하는 소극적인 대응을 하거나 이직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동료간호사의 무례함은 간호사의 정신적 긴장을 악화시켜 직무스트레스[12]와 업무 효율성 저하, 간호의 질을 저하시켜 병원경영에도 많은 손실을 가져온 다[9]. 그러나 아동간호사가 환아 보호자와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과 정에서 타 부서에 비해 감정노동을 빈번히 수행하는 과정에서[14] 발생 하는 무례함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필요하나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아동간호사에게 발생하는 무례함 경험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노력은 아동간호사의 사회적 자본을 높여 조직몰입을 높이고 업무강도와 직 무소진을 낮춤으로 아동간호사의 인적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간호사들의 소진 관련요인을 살펴보면 이직의도, 업무스 트레스, 근무만족도, 사회적 지지, 언어적 폭력, 근무형태, 직무몰입 등 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자들은 대부분 종합병원 간호사, 중환자실 간호사, 신규 간호사, 응급실 간호사들이었다. 그러나 다른 부서에 비 해 높은 소진과 이직의도가 보고된 아동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는 희소하였고, 특히 간호사의 감정적 소진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사 회적 자본, 무례함 및 인력부족으로 인한 업무강도로 인한 직무소진 등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간호사의 사회적 자본, 업무강도 및 무 례함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아동병동 간호조직의 인 적자원을 조직의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간호사의 사회적 자본, 업무강도 및 무례함 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아동간호사의 사회적 자본, 업무강도, 무례함 및 직무소진 정 도를 파악한다. 셋째, 아동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 업무강도, 무 례함 및 직무소진의 차이 정도를 파악한다. 넷째, 아동간호사의 사회적 자본, 업무강도, 무례함 및 직무소진 간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다섯째, 아동간호사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용어의 정의 직무소진 직무소진은 부정적인 자아개념 및 근무태도, 업무대상자에 대한 관 심소실 등의 현상을 포함하는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탈진의 증후군을 의미한다[6]. 본 연구에서는 Maslach & Jackson[15]이 개발한 Maslach Burn out Inventory (MBI)를 이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은 개인이나 조직이 특정한 사회구조 내에서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 즉, 사람들 간에 발생하는 사회적 상호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집합체를 의미한다[16]. 본 연구에서는 Lee[17]가 개발한 도구 를 이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업무강도 업무강도는 사회생활상의 지위에 따라 계속 또는 반복하여 행하는 사무에 대한 양이나 세기 정도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Kang 등[18]이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doi:10.4094/chnr.2017.23.1.61
fatcat:fs5ofgojsbevxox7ofxumm4j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