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Among Children's ADHD Symptoms, Parenting Stress and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

Se-Yun Kim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ADHD symptoms, parenting stress and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The data were provided by 59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who is aged between 4 and 12.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were recruited through 3 departments of child psychiatry.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the Korean version of revised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and ADHD Rating Scale(K-ARS) was used to assess
more » ... enting stress,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and ADHD symptoms respec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arental distress and warmth, rejection behavior. Parental distress is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DHD symptom and rejection behavior. ADHD symptom is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is related to ADHD symptom, parental distress. Therefore, it is needed for not only treatment related to ADHD symptom but also interventions for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 keyword :|Behavior regarding nurturing|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Parenting Stress| * "이 논문은 우석대학교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사업단의 지원을 받은 논문임"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 331 I. 서 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주증상으로 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 tent i on-Def i ci 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1]는 소아청소 년 정신과를 내원한 환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 는 질환이다[2]. 우리나라의 ADHD 유병율은 전체 아 동의 6.6~13.2%로 나타나[3] 아동기 정신건강 문제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ADHD 아동 중 25%는 불안장애, 30~40%정도는 우 울증, 40~70%는 품행장애나 적대적 반항장애와 같은 행동장애를 동반하며[4][5], 10~92%는 학습부진과 학 습장애를 동반한다[6]. 위와 같은 증후는 청소년기를 지 나 성인기까지 계속될 뿐만 아니라 다른 문제를 초래하 기도 한다[7]. 예를 들어, 불안문제가 있는 아동은 그렇 지 않은 아동보다 더 높은 중퇴율과 미숙한 문제해결 기술,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보인다[8][9]. 아동과 가장 많은 상호작용을 하는 어머니들이 일상 생활에서 나타나는 양육행동은 자녀의 다양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 어머니의 양 육행동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살 펴보면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민주적이고, 애정적인 경 우 아동은 주의 집중력, 충동 조절, 자기조절 능력, 정서 조절, 문제해결결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1-14]. 위와 같이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이 아동의 사회 적 능력 발달을 촉진시킴에도 불구하고, ADHD 자녀를 가진 어머니들은 ADHD와 관련된 문제행동으로 인해 덜 효과적이고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 타났다[15]. ADHD로 진단받은 아동은 발달수준에 맞 지 않는 부적응행동을 보이고, 환경에 대해 파괴적인 행동을 보인다[16]. 또한 부모의 요구에 덜 순응하며, 부모에게 더 도전적이고 적대적이고 부정적이며, 정상 발달을 보이는 아동보다 더 많은 도움과 주의를 요구한 다[17]. 따라서 ADHD 자녀를 둔 어머니는 그렇지 않은 어머니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부정적이고 통제하는 양 육행동을 보이며[18][19], 더 명령적이고 보다 많은 지 and P. A. Errazuriz, "Predicting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from preschool diagnostic assessments," , "Eating pathology among adolescent girl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nvironment interactions in reading disability an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doi:10.5392/jkca.2012.12.10.330 fatcat:2rooyafaorfthbnst5nascjvx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