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py of this work was available on the public web and has been preserved in the Wayback Machine. The capture dates from 2020; you can also visit the original URL.
The file type is application/pdf
.
Usefulness of Chromosomal Microarray in Hematologic Malignancies: A Case of Aggressive NK-cell Leukemia with 1q Abnormality
2019
Laboratory Medicine Online
eISSN 2093-6338 나, 염색체마이크로어레이(chromosomal microarray)를 이용한 연 구에서 공격성 NK세포 백혈병과 림프절외 NK/T 세포 림프종(extranodal NK/T cell lymphoma) 사이의 상당한 차이를 발견하였 고, NK세포 백혈병에서 호발하는 이상 소견은 1q 획득과 7p와 17p의 결손이며, 6q의 결손은 림프절 외 NK/T 세포 림프종에서 더 흔하다고 보고되었다[2, 4]. 이러한 세포 유전학적 차이는 두 질 환의 임상적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5]. 연구자들은 염 색체마이크로어레이 검사를 통해 1q 획득과 결손이 함께 동반되 고 3번 염색체의 3배체가 확인된 공격성 NK세포 백혈병 1예를 경 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증 례 환자는 57세 여자로 심신허약과 안구통증과 안구부종으로 내 원하였다. 처음에는 열이 없었고 비장종대나 말초 림프절병증도 없었다. 그녀는 심하지 않은 범혈구 감소증을 보였는데 헤모글로빈 9.5
doi:10.3343/lmo.2019.9.3.189
fatcat:mqtd2dyo25fgfjvengfjzzbg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