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Factors and NK Cell Activity in White-Collar Females

Hyun-Ho Sung, Chang-Sub Song, Kwang-Mo Choi, Chang-Eun Park
2016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1 동남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2 서남대학교 의용공학과, 3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4 남서울대학교 임상병리학과, 분자진단연구소 An effective strategy for obesity intervention should include demographic, health-related, and work-related factors that are most relevant to the target population. Factors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obesity may differ for groups of individuals across industries or age categ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urrent knowledge about the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job stress and immune
more » ... ers in blood. We assessed obesity-related parameters as well as the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NKCA) in female work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besity-related blood parameters, i.e. fasting blood sugar level, according to age (p<0.05). Moreover,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K cell activity between the obese and non-obese factor groups (p<0.05).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NKCA was closely correlated with obesity related factors. In the future, it would have to study the biological changes which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immune factors to the immunological response. 서 론 스트레스는 불편한 환경 조건에서 발생하고 건강의 악화를 초래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생물학적 기전의 관점에서, 스트레스는 각 종 질병과 연결되어 면역 기능에도 관여하고 있다. 이전의 많은 연 구는 직장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당뇨병, 고혈압, 관상 동맥 질환과 같은 질환, 대사 증후군, 치매 등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하였다 [1-5]. 또한 면역 및 염증 질환의 반응과 기전이 스트레스의 큰 요인 으로 작용한다. 직장 스트레스는 자연살해(natural killer, NK) 세 포와 같은 생체 면역 수준을 매개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 여러 연구에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종사자(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및 면역 바이오 마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7]. 우리나라의 여성들은 산업구조가 급격하게 변화되 면서 사회경제활동인력으로 구성 비율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 는 실정이며, 직무영역도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여성 근로자의 건강관리는 국민 행복 생활과 건강 사회 구현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 비만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와 같은 생활습관병의 위험요인 이 된다. 따라서 사무직 여성의 비만요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와 개
doi:10.15324/kjcls.2016.48.3.196 fatcat:xh5h5qe7abbp3py63kjarniu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