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Astronomy Topics: Based on Grounded Theories
중등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천문 수업에 미치는 영향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Sunghee Bae, Hyoungbum Kim
2016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how the students have responded to their class according to STEB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of secondary science teacher in astronomy classes. Middle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The Solar System' and 'The Exosphere and Space Development' in the 2009 Revision Science Curriculum content system is selected as an object of study through random sampling method. Twenty-nine teachers were taken STEB questionnaire and asked to make it out. Twenty-seven
more »
... completed a questionnaire of them is selected for this study. In addition, the top and bottom 5% sele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with the total score from the questionnaire were regarded as high and low STEB teachers.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was used methods such as semi-structured interviews, recording, participant observ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ience teachers of high STEB had a high accessibility about excellent professional knowledge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relating to astronomical field. Second, high STEB teachers were prepared by the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adequate to student-centered learning, whereas the low STEB teachers totally have had teacher-centered learning. Third, high STEB teachers had been provided as the idea that you can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instruments, as well as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the Astronomical Society. Therefore, confidence in astronomical class and teaching strategies through content of the curriculum were very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the STEB as well as astronomy-related class activities such as astronomical observations. ■ keywor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cience Curriculum|Astronomical Observations|Instructional Strategies|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 Vol. 16 No. 3 608 I. 서 론 최근 교육과정의 변화와 더불어 과학 교육 개혁의 흐름 속에서 과학 교사의 중요성은 꾸준히 대두되었다. 이에 1990년대 미국에서는 여러 가지 과학과 관련된 기준을 발표했는데, 이러한 기준의 중심에는 ʻ과학 교 수(science teaching)'가 자리하고 있었다[1]. 이는 과학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의미이다. 이와 관련하여 Weiss, Pasley, Banilower과 Heck[2]은 과학적 소양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교사의 지식과 믿음, 경험이 수업 전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 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과학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교 육 정책이나 과학교육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 다. 특히 Supovitzr과 Turner[3]은 교사의 수업 능력 향상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는 연구 결과를 보고 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교사의 전 문성 중에서도 교사들이 어떻게 전문적인 지식을 계발 해왔는지, 또 교수의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해왔는지에 대한 교수 효능감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Gibson과 Dembo[4]는 학생들의 행동과 성취에 있어 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 한 믿음을 교수 효능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Ashton[5]는 교수 효능감을 학생들의 성취와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 들은 학생들의 성취에 더 많은 기대를 하며, 더 높은 성취를 이끌어 낸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수 효능감은 교사가 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자신의 능력에 관한 신념[6]으로서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그 자신이 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신념이 강하다고 믿는 반면, 효능감이 낮은 교사는 그 자신이 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교수 효 능감은 개인 효능감(personal self-efficacy)과 결과 기 대감(outcome expectancy)으로 구성되어 있다[7]. 개
doi:10.5392/jkca.2016.16.03.607
fatcat:ygiplbixofdizioxrqxaetk45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