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rowth of Internal Carotid Artery Aneurysm after Neck Clipping Surgery Presenting with Compressive Optic Neuropathy

Young Nam Kwon, Hak Young Rhee, Yu Jin Jung, Hye-Yeon Choi, Sang-Beom Kim, Won-Chul Shin
2014 Korean Journal of Clinical Neurophysiology  
85%의 두개내 뇌동맥류는 내경동맥 및 내경동맥의 분 지에서 발생하는데, 2번부터 6번까지의 뇌신경들은 내경 동맥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뇌동맥류에 의해 압박되기 쉬 우며 관련된 뇌신경에 따라 다양한 신경학적 결손을 보일 수 있다. 1 특히 시신경, 시각교차 혹은 시신경로가 침범하 였을 경우에는 시력 손실을 유발할 수 있는데, 대개의 원 위부 내경동맥 동맥류는 시신경병증과 눈 운동장애를 함 께 유발하게 되며 시신경병증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비교적 드물다. 2,3 뇌동맥류의 치료로서 목묶음술을 시행한 뒤 다시 뇌동 맥류가 재 성장하는 경우는 그 빈도를 추정하기는 어려우 나 매년 0.26-0.53%의 정도로 보고된 바 있다. 4 저자들은 뇌동맥류 목묶음술 시행한 지 30개월 후에 재발한 원위부 내경동맥 뇌동맥류에 의해 발생한 단독 압박시신경병증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 례 54세 남자 환자가 두 달 전부터 서서히 진행하는 오른쪽 눈의 시력 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more » ... 혈압과 당뇨 등의 전신 질환력은 없었으나 30개월 전 두통을 주소로 타 병원 을 방문하여 오른쪽 원위부 내경동맥의 뇌동맥류에 대해 목묶음술을 시행 받은 병력이 있었다. 당시 뇌 혈관조영술 에서 오른쪽 상돌기상분지 내경동맥에 15 mm 크기의 뇌 동맥류가 확인되었으며(Fig. 1A-C) 동맥류의 목묶음술을 성공적으로 시행 받았으나 목묶음술 후 우측 중대뇌동맥 영역의 전두엽에 뇌경색이 발생하였다. 환자는 내원 시 양 쪽 동공의 크기는 정상이었지만 두 눈에 빛을 교대로 옮겨 비추면서 동공의 크기를 비교했을 때 오른쪽 눈에 빛을 비 추면 왼쪽 눈에 빛을 비추었을 때보다 동공이 오히려 산대 되는 것이 관찰되어 오른쪽 눈의 상대적 구심성동공운동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자의 안구운동은 정상 이었으며 안검하수는 관찰되지 않았다. 시력은 오른쪽 눈 에서 30 cm 떨어진 거리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확인할
doi:10.14253/kjcn.2014.16.2.89 fatcat:52cb4zz5rbhyphq7zg57fhezi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