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py of this work was available on the public web and has been preserved in the Wayback Machine. The capture dates from 2018; you can also visit the original URL.
The file type is application/pdf
.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Curriculum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의 효과 측정
2008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의 효과 측정
인간은 인간관계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며 자기의 수준을 높이고 타인을 이해하게 된다. 인간의 삶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시작하며 이러한 관계의 양적·질적인 측면이 개인의 적응은 물론 개인의 독특한 정체감 형성과 건전한 발달에 지 대한 영향을 준다(황혜자, 유선림, 2005). 한국의 대학생들은 중․고등학교 시절에 유보해왔던 자기정 체성을 탐색하고 해결해야하는 발달과제와 더불어 성인초기의 발달과제인 친밀한 인간관계의 형성이라는 과중한 적응과제를 갖고 있는 집단이다. 초기 성인기의 대인관계는 자기정체감, 자기의식, 자기능력, 자아존중감 및 자아상 확립에 영향을 미 치기 때문에 대학 시절의 만족스러운 인간관계의 형성은 매 우 중요하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간호학 분야에서 인간관계 형성능력 은 특히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직무에 대한 만족 감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도 알려져 있다(김귀분, 김 혜숙, 이경호, 2001). 간호는 질병과 고통을 예방하고 대처하 며 그러한
doi:10.5977/jkasne.2008.14.1.005
fatcat:ajj4gxvsorfj5kld46kihrhl7u